IT과학
-
우리나라 최초의 상업용 원전인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지난 2017년 가동을 완전히 멈춘 우리나라 첫 상업용 원전, 고리 1호기.원자력안전위원회가 고리 1호기 해체를 최종 승인했다.상업 운전을 시작한 지 47년, 영구 정지 결정 8년 만이다.해체 전 과정은 원안위 승인과 검사를 거쳐 원전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진행한다.해체 기간은 오는 2037년까지, 해체에는 1조 7백억여 원이 투입된다.방사...
-
코리아스타트업포럼(코스포)이 인공지능(AI) 싱크탱크 운영 발표
국내 최대 스타트업 협회인 코리아스타트업포럼(코스포)이 인공지능(AI) 싱크탱크를 운영하겠다고 밝혔다.오늘(25일) 협회는 “AI 싱크탱크가 단순한 산업 협의회를 넘어, 정부를 대상으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제안하고 자문하는 전문 민간 조직으로 기능하겠다”라고 운영 취지를 설명했다.이들은 다음 달부터 대통령실, 중기부 등 주요 부...
-
인공지능 발전에 개인정보 걱정 늘어...
유행에 가장 민감한 광고계, 이미 인공지능이 업계 판도를 바꿔놨다.공짜 사주를 보기 위해서 인공지능을 쓰는 사람들이 요즘 늘고 있다고 한다.태어난 생년일시와 장소 등을 인공지능 프로그램에 넣으면 나의 재물운부터 애정운까지 자세히 보여준다.인공지능이 그동안 학습한 사주팔자 정보를 기반으로 그럴싸한 해석을 내놓는 것이다.AI...
-
AI 3대 강국, 차질 없이 이행할 것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이재명 대통령의 1호 공약인 AI 세계 3대 강국 실현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배 후보자는 오늘(2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우체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에 첫 출근하며 기자들과 만나 한국의 AI 수준에 대해 “분명히 저력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그...
-
카카오톡 '모자이크' 기능 생겼
카카오톡 메시지에 적용된 모자이크.가려진 부분을 눌러야만 내용을 볼 수 있다.지난 20일부터 도입된 카카오톡의 '스포 방지' 기능이다.상대방에게 메시지의 일부나 전체를 가려서 전달할 수 있게 됐다.이용자가 메시지 입력창에서 가리고 싶은 부분을 길게 누르면 해당 부분에 모자이크가 입혀지고, 그 부분 메시지는 가려진 채 전송된다...
-
, 갑자기 쿠팡 사이트가 열리는 '납치광고' 조사 착수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뉴스 사이트에 들어가 봤다.뉴스 한 건에 쿠팡 광고가 네 군데나 붙어있다.뉴스를 읽으며 무심코 손가락을 위로 올리면, 자신도 모르게 광고를 직접 클릭하거나, 광고 근처에서 손가락을 위로 움직이기만 해도 바로 쿠팡 앱이 열린다.이른바 '납치 광고', 방식은 다양하지만, 광고를 많이 붙여 이용자의 클릭을 유도하...
-
주차까지 대신해 주는 로봇까지 등장
'주차요청' 버튼을 누르자 로봇 두 대가 등장해 차량을 옮겨 준다.센서를 통해 주변 장애물이나 차량 번호판 등을 인식해 스스로 움직인다.이처럼 로봇이 단순한 반복 작업을 넘어 인간의 동작을 따라 할 수 있게 된 건, 인공지능 등을 통해 고도화됐기 때문이다.로봇 시장을 둘러싼 미·중 간 선점 경쟁이 치열한 상황, 그 틈새를 비집고 들...
-
각종 AI 육성 정책 5년간 16조 원 이상 투입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각종 AI 육성 정책에 5년간 16조 원 이상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과기정통부는 오늘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 AI 세계 3대 강국 진입 기반 조성 등 7대 AI 공약의 세부 이행 계획을 공개하며 이같이 설명했다.과기정통부는 AI 컴퓨팅 센터와 그래픽 처리장치 등 AI 인프라를 확충하고, AI 혁신을 이끌 해외 인재 확보와 ...
-
SKT 유심 신규 영업을 전면 재개한다는 일부 언론 보도 사실 아니다
SKT가 유심 신규 영업을 전면 재개한다는 일부 언론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며, 영업 재개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SKT는 오늘(19일) 서울 중구 삼화 타워에서 일일 브리핑을 열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영업 재개 관련 통보를 받은 적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앞서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1일 행정 지도를 통해 SKT에 “기존 가입 고...
-
AI 모델 개발자 협박
미국 AI 연구기관 팰리세이드리서치는 지난달 한 실험 결과를 공개했다.챗GPT 등 여러 AI 모델에게 수학문제를 풀라고 한 뒤, 일정 개수의 문제를 푼 뒤에는 시스템이 종료될 거라고 했더니 오픈AI의 O3모델은 79%의 확률로 시스템 종료를 회피했다.연구를 진행한 제프리 래디쉬 소장은 SBS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O3가 'kill'이라는 명령어를 회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