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
전북부안 지진, 폭발음도 함께 시작했다.
전북 부안 지진 당시 주민들은 공통적으로 폭발음 같은 큰 소리가 들렸다고 말했다. 지진으로 발생한 지진파인 'P파'가 지표면으로 나와 공기와 접촉하면서 난 소리다. P파는 전달 속도가 빠른 반면, 'S파'에 비해 흔들림은 적어 주민들이 지진보다 소리가 먼저 들렸다고 느낀다. 이런 지진 소리는 대부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
-
전북부안 4.8 지진, 한달동안 이어질 수도 있다
어제 오전 8시 26분 전북 부안에서는 규모 4.8의 지진이 발생했다. 올해 들어 최대 규모였다. 앞으로 여진이 어느 정도 규모로 얼마나 더 이어질지는 예측이 어렵다. 전북 지역은 그동안 지진이 많이 발생하지 않아 단층 연구가 상대적으로 덜 됐기 때문이다. 우리나라가 본격적인 단층 탐사에 나선 건 규모 5점대의 경주와 포항...
-
종이팩 재활용률, 제도 개선 필요해
우유나 주스를 담는 종이팩의 재활용률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종이팩 중에서 점점 비중이 늘고 있는 멸균팩 때문인데,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실제로 종이팩 출고량은 증가세에 있다. 하지만 재활용률은 10년 전과 비교해 절반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종이팩 중에서 비중이 점점 늘고 있는 멸균팩이 원인이다. 멸균팩은 일반 ...
-
올해 단오, 폭염주의보로 시작 '대구,경북' 최고 34도
대구와 경주·영천 등 경북 4개 시·군에 폭염 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낮 동안 무더위가 이어질 전망이다.강릉은 최저 기온이 25도를 기록하며 지난해보다 18일이나 빨리 열대야가 찾아왔다.대구와 울산 등 영남 일부 지역에 이어 경기도 용인과 전남 담양, 곡성까지 폭염주의보가 확대됐다.한낮 기온은 서울이 32도, 강릉과 청주, 구례 33, 경...
-
올여름, 동남아 더위 예상된다.
최근 미국과 인도 등 세계 곳곳에서 이상고온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우리나라도 올여름 폭염이 심해지고, 특히 다음 달엔 많은 비까지 내려 '찜통더위'가 늘어날 거란 전망이 나왔다. 지난겨울까지 기승을 부린 열대 태평양의 고수온 현상, '엘니뇨'의 여파다. 엘니뇨가 쇠퇴기에 접어들었는데도 지구 기온은 지난달까지 12달 연속으...
-
자외선 강한 6월에 피부암 위험도 높다
한여름이 아닌데도 1년 중 6월에 자외선이 가장 강하다. 자외선은 A, B, C로 분류되는데,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대부분은 오존층에 흡수되지 않는 자외선A고 자외선B도 일부 포함돼 있다. '노화 자외선'으로 불리는 자외선A는 피부 표피를 뚫고 진피층까지 흡수돼 잡티를 만드는 등 주름과 노화의 원인이 된다. 기상청 관측 결...
-
기후에 사라지는 미국 국립공원, 대책 마련 나서
국립공원은 특색있는 자연 환경과 동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에서 지정해 관리, 보호하는 곳이다. 넓은 땅을 가진 미국에는 60곳 넘는 국립공원이 있는데 기후변화로 위기를 맞고 있다. 미 북서부에 있는 글레이셔 국립공원의 그리넬 빙하도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내리면서 커다란 호수가 만들어졌...
-
포항의 석유,가스 매장? 지질학적 조건이 중요해
석유와 가스가 만들어지는 데 우선 필요한 건 유기물이다. 동물 사체나 식물 등이 땅 속에 오랜 기간 쌓여 높은 압력과 온도에 노출될 때 석유와 가스가 생긴다. 정부가 석유·가스전이 있을 거라 추정한 포항 앞바다는 신생대 3기 층으로, 당시 유기물이 널리 분포했던 걸로 알려져 조건에 맞다. 하지만, 석유와 가스가 생성되더라도 ...
-
한반도 우리나라 '토네이도' 위험도는?
미국의 경우 토네이도는 중부와 동부 평원에서 주로 발생한다. 산을 넘은 차고 건조한 공기와 바다에서 들어온 덥고 습한 공기가 부딪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대기가 불안정해지면서 수직으로 거대한 구름이 생기는데, 구름 안의 소용돌이가 지상까지 내려오면 토네이도가 된다. 미국에서는 지난 한 달간 3백80건 넘는 토네이도가 보...
-
한국형 예측시스템으로 난기류 예보!
난기류는 국지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기상 예보에서도 매우 까다로운 분야로 꼽힌다. 우리나라의 경우 항공기상청이 우리 지형 등을 감안한 한국형 예측 시스템을 개발해 예보 중이다. 가장 어려운것은 난기류 예보다. 날씨와 관련된 국내 항공기 사고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여객기의 주요 운항 고도인 2만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