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
빗물 관리 기준, 정말 일본 민간 자료 베낀 것인가?
지난 2010년 정부는 이런 홍수 예방 시설의 설치 기준을 고시했다.도시개발법 등 모두 31개의 국내법에 적용돼,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등을 수립하는 데 쓰여왔다.그런데, 전체 180여 쪽 가운데 70쪽 가량이 일본 민간 협회의 자료를 사실상 베낀 것으로 확인됐다.2006년 일본우수저류침투기술협회가 마련한 지침, 주요 문구가 유사한 건 물론 첨부...
-
중국 쪽에서 저기압을 동반한 정체전선이 몰려오고 있다
중국 쪽에서 저기압을 동반한 정체전선이 몰려오고 있다.이 영향으로 오늘(4일) 밤 수도권 등 서쪽지역부터 다시 장맛비가 시작돼 전국으로 확대된다.내일(5일)까지 예상 강수량은 충남 남부 서해안에 100mm 이상, 수도권 등지에 최대 80mm 이다.올해 장마의 특징은 많은 비가 주기적으로 내리고 있다는 점이다.장마 시작 이후 전국 누적 강수량...
-
동해 영일만 심해 석유가스전 개발 계획에 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이라는 입장 밝혀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동해 영일만 심해 석유가스전 개발 계획과 관련해,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한 장관은 어제(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석유가스전 개발이 탄소중립에 역행하는 사업이 아니냐”는 질문에 “사용 과정에서 기존의 화석 연료를 대체하는 것이...
-
대체매립지 공모와 관련해 환경부가 주민 동의 요건 등 공모 조건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
난항을 겪고 있는 수도권 대체매립지 공모와 관련해, 환경부가 주민 동의 요건 등 공모 조건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어제(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환경부와 서울시·인천광역시·경기도가 참여한 4자 협의체에서 대체매립지 공모 조건 완화에 대한 공감대를 이뤘다며 이같이 말...
-
국립환경과학원이 2028년까지 초소형 온실가스 관측 위성 5기를 발사할 예정
국립환경과학원이 2028년까지 초소형 온실가스 관측 위성 5기를 발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해당 위성은 중량 50㎏ 이하로, 고도 600km의 저궤도를 돌며 이산화탄소와 메탄 등 온실가스 배출을 감시하게 된다.과학원은 위성 발사를 누리호 등을 활용해 국내에서 하는 방안을 최우선에 놓고 우주항공청과 협의하겠다고 전했다.
-
환경부 “화성 화재 공장 유해화학물질 제거 완료”
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와 관련해, 공장 내부에 남아있던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제거 작업이 마무리됐다.환경부 등은 어제 오후부터 화성시 아리셀 공장에 남아있는 페전해액 약 1,200리터를 제거하는 작업에 들어가 오늘 새벽 1시쯤 제거를 완료했다고 밝혔다.아리셀 공장에서 수거된 폐전해액은 지정폐기물 처리업체로 옮겨져 오늘 중 소...
-
여름 장마 대비할 방재목표 제자리
이번 주말 전국에 장맛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비 피해를 우려하는 분들 많다. 최근엔 기후변화 탓에 좁은 지역에 강하게 쏟아지는 극한 호우가 더 잦아지고 있어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잘 포장된 길과 건물이 그릇 역할을 해 흡수되지 않은 빗물이 저지대로 모이게 되고, 2022년 강남역 침수같은 도시 홍수로 이어질 것이...
-
서울 첫 폭염특보 , 제주도 부터 장마 시작
서울엔 올해 첫 폭염특보가 내려졌고, 전국 곳곳에서 올해 최고기온을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제주도는 오늘 밤 첫 장맛비가 내릴 전망이다. 서울 35.8도 등 내륙 지역 대부분이 35도를 웃돌았고, 곳곳에서 6월 최고기온 기록을 경신했다. 때 이른 무더위에 전국의 온열질환자 수는 올들어 이미 223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의 2배 수...
-
장마철 대비해 통신 장애 대비 점검해 '통신 재난' 막는다.
안테나 등이 강풍에 넘어가지 않도록 굵은 케이블로 단단히 고정한다.한 건물 주차장 입구 앞에는 쌓을 수 있는 간이 차수막을 준비했다.이처럼 입구에 차수막을 설치하면 지하 공간에 있는 통신 장비를 침수 위험 상황에서 보호할 수 있다.혹시라도 비가 새는 걸 막기 위해 통신망 장비에는 방수용 비닐을 꼼꼼히 덮는다.장마철이 다가오자...
-
소방 드론으로 자유자재 활약한다.
재난 현장에서 소방 드론의 활약상이 눈부시다. 야간 산길에서도 건물 깊숙한 곳에서도 임무수행이 원활하다. 소방청이 소방 드론을 처음 도입한 건 2015년이다. 지난해 말까지 소방 드론은 5백50여 대로 늘었고, 조종 자격자는 6천 명 넘게 배출됐다. 소방 드론은 화재나 지진으로 벽과 바닥이 무너져 내린 건물 안을 수색하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