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롤스로이스 남 마약 처방의사, 1심 징역 17년
일명 '롤스로이스 사건' 운전자 신모(29)씨에게 마약류를 불법으로 처방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의사가 1심에서 징역17년을 선고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30부(부장판사 강두례)는 13일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준강간 등 혐의로 기소된 40대 의사 염모씨에게 징역 17년과 벌금 500만원을 선고했다. 또 5년간의 보호관찰, 아동·청...
-
과외 어플로 만나 살인한 정유정, 무기징역 확정 !
또래 여성을 살해하고 시신을 훼손해 유기한 혐의로 기소된 정유정(24)에 대한 무기징역을 법원이 13일 확정했다. 대법원 2부(대법관 김상환)는 이날 살인, 사체손괴 및 사체유기, 절도 등의 혐의를 받던 정유정에게 무기징역과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명령 30년을 명령한 원심을 확정했다. 법원은 “피고인의 연령·성행·환경, 피해자와...
-
대학병원 빅5 '무기한 휴진' 결정에 환자를 죽음으로 ..
서울의대에 이어 연세대 의대도 정부에 전공의 사태 해결을 요구하며,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결의했다. 넉 달째 의료공백을 버텨온 환자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의대 교수들의 집단 휴진 철회를 강력히 요구했다. 환자단체는 의료공백을 참고 버텨왔지만 결과는 교수들의 휴진 예고였다며, 서울의대를 시작으로 휴진 선언이 확...
-
검찰, '이재명 대표' 제 3자 뇌물 혐의로 기소
쌍방울 그룹의 대북송금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기소했다. 검찰이 적용한 혐의는 제3자 뇌물과 남북교류협력법 위반이다. 검찰은 이 대표가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와 공모해, 2019년 1월부터 3개월 동안 김성태 전 쌍방울 그룹 회장에게 북한에 지급하기로 한 '스마트팜' 사업비 5백만 달러를 대납...
-
이원석, 증거와 법에 따라 이재명 대표 추가 가능성 있다
이원석 검찰총장이 '쌍방울 대북 송금' 연루 의혹을 받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추가 기소 가능성에 대해 증거와 법리에 따라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이 전 부지사에게 징역 9년 6개월을 선고하며, 북한에 넘어간 230만 달러는 "이재명 당시 경기도지사의 방북 관련 사례금으로 보기 충분하다"고 밝혔다. 이 총...
-
경북 부안, 규모 4.8의 지진 신고 잇따라
오늘 오전 8시 26분 전북 부안에 발생한 규모 4.8의 지진으로 진동을 느꼈다는 신고가 잇따라 접수되고 있다.소방청은 오늘 오전 8시 40분까지 198건의 유감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다.지역별로 살펴보면, 전북 62건, 충남 27건, 충북 24건, 광주 14건 등으로 서울과 강원에서도 각각 2건과 1건의 유감 신고가 접수됐다.여진도 잇따르면서, 부산서도 ...
-
북한군, 대남확성기 설치중
북한군이 어제(10일) 새벽부터 군사분계선 인근 곳곳에 5단짜리 대남확성기를 설치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우리 군은 모든 전방 전선에 고정형 대북확성기 설치를 마쳤고, 북한의 물리적 도발에 대비해 화력 대기 태세도 격상한 것으로 확인됐다. 군사분계선 일대 비무장지대에 있는 북한군 민경대대에서 철거됐던 대남확성...
-
'대북송금 이화영' 1심 판결 항소 , 이재명 대표 이번주 중으로 기소 예정
‘쌍방울 불법 대북 송금’ 사건 등으로 1심에서 징역 9년6개월을 선고받은 이화영(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씨 측이 10일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다. 1심 선고 후 3일 만이다. ‘쌍방울 불법 대북 송금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은 이번 주 중으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기소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화영의 변호인 김현철 변...
-
밀양성폭행사건, 엉뚱한 신상공개로 2차 가해 논란
최근 일부 유튜버들이 밀양 성폭행 사건 가해자들을 응징한다며 신상을 잇따라 공개하면서 사적 제재와 2차 가해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관련자로 지목된 이들의 진정과 고소가 잇따르는 가운데 엉뚱한 신상 공개 탓에 피해를 호소하는 이들도 나오고 있다. 유튜버들은 고교생 44명이 여중생을 1년간 성폭행하고도 단 1명도 형사처...
-
AI 변률 챗봇 서비스, 법 위반 소지 있을까?
최근 AI 법률 서비스를 선보인 한 로펌의 소속 변호사들을 상대로 대한변호사협회가 징계를 위한 조사에 착수하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AI가 변호사 업무를 하며 수익을 얻는 것 자체에 법 위반 소지가 있고, 답변 하단 광고가 수임으로 이어질 경우 '무료 법률 상담'을 금지한 변호사 광고 규정을 위반한다고 봤다. 또 데이터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