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료기기와 의약외품, 화장품 관련 온라인 허위·과대 광고가 무더기로 적발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접속 차단과 관할 행정기관 점검 등을 요청 장은숙 2025-11-14 10:31:36


▲ 사진=식약처

식약처는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부항기, 혈압계, 개인용 저주파자극기 등 온라인 의료기기 광고를 점검한 결과 ▲ 의료기기 불법 해외 구매대행 광고 77건(66%) ▲ 허가받은 성능·효능·효과를 벗어난 거짓·과장 광고 1건(0.8%) ▲ 의료기기 오인 광고 38건(33%) 등 116건을 적발했다.

선물 세트에 많이 포함되는 치약제, 구중청량제, 치아미백제의 경우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은 효능·효과를 벗어난 광고 46건이 발견됐다.미백·주름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에는 ▲ 화장품이 의약품의 효능·효과가 있는 것처럼 광고한 32건(61%) ▲ 일반화장품을 기능성화장품처럼 광고하거나 기능성화장품을 심사 결과와 다른 내용으로 광고한 15건(29%) ▲ 소비자가 오인할 우려가 있는 광고 5건(10%)이었다.식약처는 소비자가 의료기기, 의약외품, 화장품 등을 온라인에서 구매하기 전에 허가·심사 등 정보를 의약품안전나라와 의료기기안심책방 누리집에서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