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판유통통합전산망
강인숙의 자전적 에세이 『성안집 사람들』은 한 여성 지식인이 평생 써온 기록들을 갈무리해 엮은 에세이 전집의 첫 권이자, 그 뿌리를 보여주는 출발점이다. 작가는 구순을 넘긴 지금까지도 글을 통해 자신의 삶과 시대를 성찰해왔다. 『성안집 사람들』은 2004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여러 에세이집 가운데 『아버지와의 만남』, 『어느 고양이의 꿈』, 『셋째 딸 이야기』 세 권을 합하고 추려 새롭게 재구성하고 보완한 결정판이다. 고향과 가족이라는 근원을 다룬 이 책에서 작가는 “내 고향과 내 조국은 어려서 살았던 퇴락한 성안집 울타리 안이며, 거기서 함께 살았던 혈족들이다”라고 고백하며, 자신의 정체성과 세계관이 형성된 뿌리를 되짚는다.
『성안집 사람들』의 가치는 바로 여기에 있다. 작가가 자신의 기억과 가족의 역사를 정리하는 이 작업은 단순한 집안의 연대기가 아니다. 역사와 사회를 개인의 경험 속에서 되살려내는 과정이자, 집단의 역사를 증언하는 행위다. 오늘날 자전적 에세이나 가족사를 다룬 작품이 드문 가운데, 강인숙의 서사는 개인의 기록을 넘어 한국 현대사의 또 다른 문학적 통로가 된다. 한 집안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우리는 자기 가족사의 흔적과 맞닿게 되고, 역사가 결국 개인들의 총합임을 실감하게 된다. 『성안집 사람들』은 유년의 기억을 불러오는 서정성과 시대를 꿰뚫는 사유가 결합된 독특한 성취로, 상실과 비극을 넘어 삶을 지탱해온 인간성, 여성들의 저력, 교육에 대한 열망, 다시 일어서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성안집은 사라졌지만, 그 울타리 안에서 함께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이 책을 통해 되살아나, 우리 시대가 잃어버린 ‘가족의 서사’를 회복하는 길을 제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