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KBS NEWS 영상 캡처
정부가 극한 가뭄과 홍수 등에 대비하겠다며 지정한 기후대응댐 후보지는 모두 9곳이다.
지난해 7월 발표한 14곳 중에서 9곳을 추렸다.정부는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이르면 오는 2027년 기본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다.나머지 5곳 중 충남 지천과 전남 동복천에 대해선 주민, 지자체와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당장 협의가 어렵다고 판단한 강원 수입천 등 3곳은 계획을 보류한다고 밝혔다.하지만 정부는 기후 변화와 미래 수요 등을 감안하면 이들 지역에도 댐 건설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실제로 강원 수입천 등 저수 용량을 크게 잡았던 지역들이 빠지면서, 예상 물 공급량은 지난해 7월 발표 때의 16% 수준으로 줄었다.반면, 환경단체들은 정부가 인구 감소 등을 반영하지 않은 채 물 부족 우려를 과장하고 있다며, 댐 건설 계획 자체를 백지화하라고 주장하고 있다.추가 협의가 예정된 지역의 주민들도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정부 관계자는 기후대응댐의 총사업비에 대해 14곳 모두 추진 시 4~5조 원 사이, 후보지로 지정된 9곳만 추진 시 2조 원 이하로 추정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