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따돌림 ‘왕따’를 소재로 한 사회 고발 성격의 작품들
<애프터 루시아> VS <인 어 베러 월드> VS <라이프>
김수진 2013-08-16 10:14:00
![]() |
전세계적인 사회 문제로 대두 된 집단 따돌림에 대한 이야기를 섬세하고 사실적으로 그려 내 충격과 깊은 여운을 동시에 남긴 <애프터 루시아>가 오는 9월 국내 개봉을 한다.
집단 따돌림을 당하는 소녀와 그녀의 복수를 하는 아빠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애프터 루시아>는 칸국제영화제에서 ‘주목할 만한 시선’ 대상을 받으며 수많은 영화인들에게 큰 자극을 주었다.또한 지난해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월드시네마 부분 초청작품으로 영화제 관객들과 프로그래머들의 강력 추천을 받기도 했다.
아내와 엄마를 잃고 서로를 의지하며 살아가는 부녀는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자 대도시로 나가지
만 아빠는 직장에서 부적응을, 딸은 학교에서 집단 따돌림을 당하게 된다. 이유없는 미움과 증오
그리고 잔인한 가해자들. 딸을 끝내 지켜주지 못한 아빠의 처절한 복수가 시작된다. 무서울 정도
로 침착하고 현실적인 영화의 분위기는 관객들을 충격과 분노에 빠뜨린다. .
만 아빠는 직장에서 부적응을, 딸은 학교에서 집단 따돌림을 당하게 된다. 이유없는 미움과 증오
그리고 잔인한 가해자들. 딸을 끝내 지켜주지 못한 아빠의 처절한 복수가 시작된다. 무서울 정도
로 침착하고 현실적인 영화의 분위기는 관객들을 충격과 분노에 빠뜨린다. .
<‘따돌림’, ‘폭력’, ‘상처’, ‘복수’ 그리고 ‘용서’의 과정을 보여주고 관객들을 통해 사회 문제에 대한 직, 간접적 참여와 판단을 유도하는 작품들>
동, 서양을 막론하고 현대 사회의 큰 문제로 인식되는 ‘집단 따돌림’을 소재로 한 영화들은 모두 사회 고발의 성격을 띄고 있다.
‘따돌림’, ‘폭력’, ‘상처’, ‘복수’ 그리고 ‘용서’의 과정을 보여주고 관객들을 통해 사회 문제에 대한 직, 간접적 참여와 판단을 유도하는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
영화 <애프터 루시아>는 감독이 동시대 사람들에게 ‘집단 따돌림’ 현상에 대한 직접적인 해결책이 무엇인지를 묻는 작품이다.
<애프터 루시아>와 함께 집단 따돌림 소위 ‘왕따’를 소재로 한 사회고발 성격의 수작들을 만나보자.
덴마크 영화 <인 어 베러 월드>는 2011년 아카데미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애프터 루시아>와 같은 집단 따돌림에 대한 복수가 타당한 것인지에 대한 물음을 관객들의 판단에 맡기며 아카데미가 선택한 최고의 작품으로 선정되었다.
아내와 별거중인 안톤은 덴마크와 아프리카를 오가며 난민촌에서 의료봉사를 하고 있다. 그의 10살 난 아들 엘리아스는 학교에서 상습적으로 따돌림을 당하며 폭력에 시달리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전학생 크리스티안의 도움으로 엘리아스는 위험한 순간을 모면하고 둘은 친구가 된다. 하지만 엄마를 암으로 잃고 분노로 가득 차 있는 크리스티안은 엘리아스를 점점 더 위험한 세계로 끌어들인다.
학교에서 집단으로 따돌림을 당하던 소년이 한 친구의 도움으로 새로운 세상을 맛보게 된다. 하지만 그것은 잔혹한 폭력이 뒷받침되어야만 누릴 수 있는 잠깐의 행복이라는 사실을 깨닫기도 전에, 아빠가 폭행을 당하는 모습을 지켜보며 냉혹한 현실을 또다시 경험하게 된다.
우리와 가까운 일본은 ‘이지메’라는 집단 따돌림 사회 문제를 우리 보다 더 먼저 겪은 국가다. 일본 드라마 <라이프>는 ‘왕따’를 소재로 한 원작 만화를 드라마로 제작한 작품이다.
새로운 고교에 진학한 여학생이 오해로 인해 집단 따돌림을 당하는 드라마의 내용은 리얼하고 충격적이다. 끔직한 ‘집단 따돌림’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영화 <애프터 루시아>와 상당 부분 유사한 내용들을 보여준다.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