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안내
-
신간 <아미>
『아미』는 위안부 피해자 헌정곡으로 만들어진 「아미」를 그림책으로 재해석하여 다가오는 광복 80주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기억하는 의미로 만들어졌습니다. 10만 유튜브 채널인 〈노을이의 작업실〉을 운영하는 차성진 작곡가와 2025년 ‘한국에서 가장 즐거운 책’에 선정된 『자개장 할머니』를 쓰고 그린 안효림 ...
-
신간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
헤겔은 어디에선가 세계사에서 막대한 중요성을 지닌 모든 사건과 인물은 반복된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그러나 그는 다음과 같은 말을 덧붙이는 것을 잊었다. 한 번은 비극으로 다음은 소극{笑劇}으로 끝난다는 사실 말이다.인간은 자신의 역사를 만들어 가지만, 그들이 바라는 그대로 역사를 형성해 가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그들 ...
-
신간<빛의 혁명>
“국민 여러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국회는 헌법적 절차에 따라 대응 조치하겠습니다. 국민 여러분께서는 국회를 믿고 차분하게 상황을 주시해주시기 바랍니다.”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민주주의 선진국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친위쿠데타로 많은 국민에게 충격을 안겼다. 늦은 밤임에도 국회의원...
-
신간 <가족을 찾는 사람들>
1983년, 한반도에는 여전히 전쟁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고, 소련에 의한 대한항공 여객기 피격 사건, 버마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등 냉전과 분단으로 인한 크고 작은 사건들이 연속해 벌어졌습니다. 어린이들은 해마다 6.25 전쟁일을 앞두고 학교 숙제로 반공 포스터와 글짓기를 하면서 우리나라가 여전히 전쟁 중임을 학습했지요. 그 ...
-
신간
자바스크립트는 단순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넘어 전 세계 개발자들이 활용하는 방대한 생태계를 만들어냈습니다. 하지만 매일 사용하는 npm과 package.json, 다양한 번들 도구와 모듈 시스템의 작동 원리, 그리고 모노레포 환경까지 제대로 이해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 책은 이러한 자바스크립트 생태계의 복잡한 퍼즐을 하나씩 풀어가며 실무...
-
신간 <한 권으로 끝내는 인스타그램 & 라이브커머스 실전 가이드>
『한 권으로 끝내는 인스타그램 & 라이브커머스 실전 가이드』는 지금 바로 스마트폰 하나로 나만의 온라인 매장을 열고, 매출을 끌어올리고 싶은 이들을 위한 완벽한 책이다. 이 책은 인스타그램을 단순히 사진을 올리고 소통하는 공간을 넘어, 실제 비즈니스 성과를 내는 강력한 마케팅 플랫폼으로 만드는 법을 알려준다.
-
염상섭 문학과 대안근대성
『염상섭 문학과 대안근대성』은 단순한 작가론을 넘어, 염상섭의 문학을 통해 한국문학이 품었던 근대에 대한 질문, 그리고 세계 문학의 경계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이론적으로 탐색한다.‘대안근대성(altermodernity)’은 서구 중심의 발전 서사를 해체하고, 주변부 사회에서 나타나는 독자적 역사 인식과 문화 실천을 재구성하는 개념이다. ...
-
신감 <국경을 넘은 사람들>
국경없는의사회는 1971년부터 50여 년간 전 세계를 대상으로 무력 분쟁, 자연재해, 전염병의 영향을 받거나 의료서비스로부터 소외된 이들에게 인도적·의료적 지원을 해 온 인도주의 의료 구호 단체이다. 이들은 오직 환자의 필요에 따라 지원을 제공하며 가장 심각하고 긴급한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우선적으로 도와 왔다. 이들의 구호 활동...
-
신간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는 덕 전통을 재건해 ‘좋은 삶’에 대한 논의를 다시 활성화한 정치철학자·윤리학자다. 아리스토텔레스를 따라 좋은 삶을 다시 인간의 목적으로 세우고, 그것을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자질인 덕을 실천과 서사 그리고 전통이라는 무대 위에서 조명한다. 빈곤해진 철학에 활기를 불어넣는 매킨타이어의 실천철학에...
-
신간 <양자와 장>
이 책은 21세기를 대표하는 이론물리학자 숀 캐럴의 3부작 ‘우주의 가장 위대한 생각들’ 시리즈의 두 번째 책으로, 현대 물리학의 핵심 개념인 양자장론을 다룬다.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부터 입자물리학과 양자장론을 포함해, 고전적인 세계관에서 양자적 세계관으로의 놀라운 전환을 설명하는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물리법칙의 깊은 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