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
한풀 꺾이나 싶었던 폭염이 다시 기승
찜통더위를 피해 해수욕장마다 피서 인파가 몰렸다.시원한 바닷물에 몸을 맡겨보지만, 더위는 쉽게 가시질 않는다.광복절 연휴를 지나며 폭염특보는 더욱 강화돼, 남부와 동해안으론 폭염경보가, 서울 등 대부분 지방으론 폭염주의보가 발효 중이다.폭우가 잦아든 지난 주말 사이 무더운 고기압이 다시 겹겹이 세력을 확장해 왔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년보다 2% 감소
"오는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줄이겠다."2021년 정부가 국제사회에 공언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다.하지만 지난해 우리나라의 감축량은 전년 대비 약 2% 수준, 지금까지 약 13% 감축하는 데 그쳤다.세부적으로 보면 에너지 전환 부문에서는 감소세가 이어졌다.석탄 발전량은 계속 줄어든 반면, 재생에너지와 원전이 늘...
-
최근 온라인 상 폭발물 테러 위협 반복에 폭발물 테러 대응 훈련
최근 온라인 상에서 폭발물 테러 위협이 반복되는 가운데 오늘(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폭발물 테러 대응 훈련이 열렸다.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 서울청사관리소는 오늘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관·경·군·소방 등 백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폭발물 테러 대응 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훈련은 정부서울청사에 폭발물 택배가 온 ...
-
무더위가 이어지겠고, 오후까지 대부분 지역에서 곳에 따라 소나기
오늘은 전국에 구름이 많은 가운데 무더위가 이어지겠고, 오후까지 대부분 지역에서 곳에 따라 소나기가 내리겠다.소나기 강수량은 수도권과 강원도, 충청과 호남, 제주는 5에서 40mm, 영남은 5에서 20mm 정도다.강원 영동과 경북 북동산지, 경북 동해안에는 초속 15미터 안팎의 강한 바람이 부는 곳도 있겠다.오늘 낮 기온은 서울이 31도 등 전국...
-
'산불 피해목'도 대규모 발생
산불로 고사한 나무가 민가나 도로를 덮치지 않도록 잘라내고 있다.이렇게 안전상의 이유로 벌채하는 산불 피해목은 일부에 그친다.대부분의 나무는 지난 3월 초대형 산불 때 까맣게 탄 모습 그대로다.산불 피해를 본 만 6천ha 가운데 5분의 1가량의 피해목만 벌채했다.산불 피해목은 1~2년 안에 베어야 강도가 유지되고 덜 뒤틀려 목재로서의 ...
-
무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진다
오늘도 전국이 대체로 흐린 가운데 무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겠다.오전까지 수도권과 강원도, 충남 지역에는 곳에 따라 5에서 20mm 정도 비가 오겠다.비가 그친 뒤에도 하늘에 구름이 많겠고, 오후 들어 내륙 곳곳에는 가끔 소나기가 오겠다.소나기로 예상되는 강수량은 영호남과 제주 5에서 40mm, 중부지방 5에서 20mm 정도다.내일까지 강원영...
-
국립수목원이 광복 80주년 식물 ‘잃어버린 이름’ 찾기
우리나라 최초의 식물분류학자, 하은 정태현 선생.구한말부터 해방 이후까지 한반도 전역에서 수천 점의 식물 표본을 채집하고, 첫 한글 식물도감을 편찬했다.선생이 발견했던 신종 식물 '민생열귀나무'이다.그런데 학명에 일본식 이름이 적혀있다.선생이 일제강점기 창씨개명으로 '가와모토 다이겐'이라는 이름을 써야 했기 때문다.이 ...
-
한풀 꺾이나 싶었던 폭염이 다시 기승
찜통더위를 피해 해수욕장마다 피서 인파가 몰렸다.광복절 연휴를 지나며 폭염특보는 더욱 강화돼, 남부와 동해안으론 폭염경보가, 서울 등 대부분 지방으론 폭염주의보가 발효 중이다.폭우가 잦아든 지난 주말 사이 무더운 고기압이 다시 겹겹이 세력을 확장해 왔기 때문이다.특히 더운 서풍은 태백산맥 동쪽 지역의 기온을 37도까지 끌어...
-
중부지방 집중호우로 서울과 인천, 경기, 강원지역 산사태 위기 경보
중부지방 집중호우로 서울과 인천, 경기, 강원지역의 산사태 위기 경보 수준이 ‘경계’에서 ‘심각’ 단계로 상향됐다.산림청은 “수도권과 강원도를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렸고, 내일 아침까지 추가적인 집중호우가 예보됨에 따라 오늘(13일) 저녁 7시 반을 기해 서울과 인천, 경기, 강원 4개 시도의 산사태 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상...
-
건설업계 전방위 압박, 고강도 제재 방안을 마련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 3년이 지났지만, 일하다 숨진 근로자는 2천 명에 달한다.그중 절반은 건설업이다.이 때문에 '안전'을 못 지키면 기업이 '손해' 보도록 제재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하지만, 최저가 입찰제나 공사 기간 단축 압박 등 구조적인 문제가 맞물려 있는 만큼 처벌 강화만이 능사는 아니란 지적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