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홈플러스 관련 논란, 재무 상황 숨기고 회사채를 투자자들에게 팔
홈플러스의 채무 중 담보가 없는 건 크게 두 갈래다.납품과 입점 업체에 줄 상거래 채무가 3천억여 원.각종 채권 형태로 판 금융 채무 최대 6천억 원.이 중 상거래 쪽은 소상공인에게 먼저 갚는 지급 계획을 14일까지 마련하기로 했다.반면, 금융 채무는 6월쯤 상환 계획이 법원에 제출될 전망이다.홈플러스는 운영자금을 위해 6천~7천억 원 규...
-
AI 일자리로 여성들이 결혼과 출산, 육아 등으로 겪는 추가적 경력 단절
전체 여성 고용률은 30세부터 쭉 빠져서 45세쯤 다시 오르는 'M자 곡선'.반면, 공학 계열만 추리면 'L자 곡선'이 그려진다.IT 업종 워킹맘에겐 휴직이 곧 퇴직이다.경력 단절 공포는 후배 공학도들도 다르지 않다.취업과 결혼을 동시에 앞두면 직장 선택이 더 고민이다.이공계 학사 학위 이상 여성 중 임신, 출산 등으로 쉬고 있는 '경단녀’...
-
기업회생 절차 중인 홈플러스 사태가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로 번질지 우려
기습적으로 기업 회생에 돌입한 홈플러스의 금융채권은 약 6천억 원으로 집계된다.문제는 상당수가 증권사를 통해 개인이나 법인에게 소매판매됐다는 것이다.카드대금 채권을 기초로 발행된 유동화증권(ABSTB) 4천억 원과 기업어음, 전자단기사채 천880억원 등이다.홈플러스의 회생 계획안에 따라선 회수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홈플러스측은 ...
-
정부가 놓치는 '숨은 학원비'
영어학원비 안내문.수업료가 5만 원, 온라인 학습비도 만 원 올라갔고, 안 받던 차량비를 내라는 학원도 늘었다.지난달 김 씨가 낸 학원비는 10% 정도 늘었지만, 같은 달 통계청이 집계한 초등생 학원비는 2.4% 올랐다.기본 수업료만 통계에 잡히기 때문이다.셔틀 버스비, 교재비, 온라인 학습비 등은 선택 비용이라서 제외한다는 설명인데, 현...
-
기업회생 중인 홈플러스에 식품 등을 납품해 온 업체들이 잇따라 납품을 중단
2월 초 연휴가 끝나자마자 홈플러스가 기습적으로 기업회생에 들어가면서 대금 정산이 안 된다.전국이 비슷한 상황이다.납품 업체들도 동요하고 있다.LG전자와 삼양식품, 롯데칠성, 동서식품, 오뚜기 등은 당장 납품을 중단했다.업체들은 홈플러스가 납품 대금 지급 계획을 정확히 밝힐 때까지 납품을 중단한다는 입장이다.납품 중단에 동참...
-
금이 정말 '금값'이 되면서 금 밀수 증가
관세청은 올해 1월과 2월, 금 밀수 7건을 적발했다.최근 3년, 한해 평균 3건 정도였던 것에 비하면 급증세다.이달 들어 해소되긴 했지만, 국내 금값이 유독 비싼 일명 '김치 프리미엄' 때문이다.평소에도 금값이 10% 넘게 싼 홍콩에서 금을 들여오면, 김치 프리미엄까지 더해 20% 정도는 앉아서 버는 구조.쉽게 돈을 번다는 생각에 별의별 방법이...
-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 일부 제휴사 대금 못 받을 우려에 홈플러스 상품권 사용 중단
신라면세점과 에버랜드, CJ 푸드빌, CGV 등 업체들이 잇따라 홈플러스 상품권을 받지 않는다고 공지하고 있다.홈플러스가 그제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가자 상품권 대금을 제때 받기 어려울 수 있다고 판단했다.홈플러스는 연간 2천억 원대의 상품권을 발행하는데 그 가운데 4%만 외부 가맹점에서 사용된다며 과도한 우려라고 설명했다.홈플러...
-
예상했던 관세 부과에도 미국 내 재고 확보 등 잇따라 비상 대책 실행에 돌입
인건비가 싼 멕시코 케레타로 공장에서 세탁기를 만들어 미국으로 팔아온 삼성전자.멕시코에 대한 관세 25% 부과에 이곳 생산량 감축에 나섰다.대신 미국 뉴베리의 세탁기 공장 가동률을 끌어올릴 계획이다.예고됐던 관세 부과에 꺼내든 '플랜B'이다.멕시코에 생산기지를 둔 우리 기업 90여 곳이 다 비슷한 처지다.멕시코에서 가전을 생산하...
-
반도체 생산, 소비, 투자 전 부문 감소세
고성능 서버엔 메모리 반도체 DDR4를 많이 쓴다.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세계 D램 매출의 75%를 점유하는데, 올 초 가격이 25% 떨어졌다.휴대전화용 메모리 NAND 역시 50% 넘게 빠졌다.고대역폭 메모리 HBM만큼 주목받진 못하지만, 국내 반도체 매출의 60% 이상은 아직 이런 범용 반도체에서 나온다.주력 제품의 가격이 폭락하니 1월 반도체 지표는 ...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엔 '농산물' 관세 부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2일부터 수입 농산물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비관세 장벽까지 고려한 '상호 관세'도 이날부터 시행될 거라고 다시 한번 확인했다.한 달 동안 유예했던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도 현지 시각 4일부터 시행될 거라고 재확인했다.자동차, 신발, 가전제품에서부터 먹거리까지 관세가 예고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