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이진숙, 이재명 대통령에게 반대 입장 “특검, 정치 보복으로 비칠 수 있다”
윤석열 정부 인사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공개적으로 입장을 밝혔다.국무회의에서는 국회에서 통과된 3대 특검법에 대한 심의·의결에서 이 위원장은 “(이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통합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얘기했는데 그 정신에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이 대통령은 여러 의견을 경청한 뒤 ...
-
김민석, 불법 정치자금 빌린 후 안갚고 또 빌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는 2018년 4월 11일과 23일 각각 2차례씩 총 4차례에 걸쳐 강모 씨로부터 4000만 원을 빌렸다. 김 후보자는 2018년에만 강 씨를 포함해 총 11명으로부터 총 1억4000만 원을 빌렸지만 현재까지 갚은 금액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후보자는 법원에서 자신이 받은 돈은 불법 정치자금이 아닌 빌린 돈이라고 했다. 재판부는 강 ...
-
국민의힘 "이재명 대통령 재판 연기 관련 법적 조치 진행할 것"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과 대장동 사건 재판이 연기된 것과 관련해 법적 조치와 함께 릴레이 농성, 범국민 서명 운동 등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권성동 원내대표는 오늘(11일) 서울고등법원 앞에서 열린 ‘헌법 파괴 저지를 위한 현장 의원총회’에서 “국민의힘은 모든 사람이 법 앞에 평등한 나라...
-
국민의힘 재선 15명, 김용태 거취는?
국민의힘 재선 의원 15명은 차기 지도부가 구성될 때까지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임기를 연장하는 데 뜻을 모았다.국민의힘 재선 의원 중 일부는 오늘(10일) 간담회를 열고 2시간 정도 차기 지도 체제에 대해 논의한 결과, 김용태 비대위원장의 임기 연장을 포함한 당 혁신 방안에 대해 합의했다.권영진 의원은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
-
안철수 "이재명 대통령 재판 추후지정…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한 것이 맞습니까?"
서울고법 형사7부가 오늘 이재명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위반 파기환송심을 '추후 지정'으로 연기했습니다.서울고법은 대통령의 불소추특권을 규정한 헌법 84조를 근거로 들었는데, '소추'의 개념에 현재 진행 중인 형사재판이 포함되는지는 법조계 내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나오는 등 불분명한 상황임에도 임의로 판단한 것입니다. 헌법 제...
-
국민의힘, 의원총회 열고 차기 지도 체제 문제 논의
물가 안정을 정부 최우선 과제로 꼽은 더불어민주당.당 차원의 물가관리 전담반을 구성하고, 당정 협의를 통해 민생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경제 회복을 위해 신속한 추가경정 예산안 처리도 약속했다.박찬대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국가 재정 투입은 경제 순환의 마중물이자 국민 삶의 큰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국...
-
민주당은 법사위원장 자리를 국민의힘에 즉시 반납해야 한다.
민주당은 법사위원장 자리를 국민의힘에 즉시 반납해야 한다.야당이었을 때, 민주당은 정부여당 견제를 이유로 법사위원장 자리를 차지했다.이제 여야가 완전히 바뀌었다. 그것도 심각한 여대야소 불균형 상황이다.민주당의 논리 대로, 행정부 견제를 위해 법사위원장은 반드시 야당이 맡아야 한다. 그것이 16대 국회부터의 오랜 관행이기...
-
대통령실 인선 발표, 국민통합과 소통을 위한 인선?
이재명 대통령은 새 정부와 국회의 가교 역할을 할 정무수석에 우상호 전 민주당 의원을 임명했다.4선 중진에 비대위원장과 원내대표 등을 두루 거쳐 의정 경험이 풍부하고 합리적이란 평을 듣는다.홍보소통수석에는 탐사보도를 주로 해 온 언론인 출신 이규연 전 JTBC 대표를 발탁했다.국민과의 소통을 최우선으로 두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
-
병사에 대한 '자동진급'이 폐지, 심사 강화
현행 병사의 계급별 최저 복무 기간은 이병 2개월, 일병과 상병은 각 6개월이다.이 같은 기간을 채우면 대부분 진급했고, 진급심사에서 탈락하더라도 2개월 뒤면 '자동진급' 됐다.하지만 지난달부터 상병과 병장 진급을 위한 심사에서 '자동진급'이 없어졌다.대신 전역하는 달에 상병으로, 전역하는 날에 병장으로만 진급이 가능하게 했다....
-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는 '3대 특검법' 오늘 국회 본회의 통과
오늘 본회의에서는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과 군사 반란 등의 혐의를 수사할 내란 특검법이 통과됐다.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건진법사 관련 의혹 등을 규명할 김건희 여사 특검법, 수사 외압 의혹 규명을 위한 채 해병 특검법도 가결됐다.이와 함께 검사에 대한 징계를 검찰총장뿐만 아니라 법무부장관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