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는 '천안함 폭침'과 관련해 "북한을 배후로 생각한다"며 "(북한 소행이라는) 정부 발표를 신뢰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자신이 국회의원 시절인 2010년 국회가 천안함 규탄을 결의할 때 북한을 배후로 지목한 수정안에 대해 찬성표를 던진데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 후보자는 ‘북한을 주적이라고 생각하느냐’(자유한국당 박명재 의원)는 질문에 “군사적으로는 주요한 적”이라면서도 “총리가 군사만 생각할 수는 없다”고 답변했다. 대북 정책과 관련해 '북한과의 대화냐 제재냐'를 묻는 질문엔 “북한의 태도 변화가 있지않는 한 대화는 어렵다”고 말했다.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선 "정부와 상의해야 하지만, 인권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김대중 정부의 '햇볕 정책'에 대해선“당시 대한민국의 역대 대북정책에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러나 그때그때 국면에 따라 햇볕정책 운용에는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제 사회의 대북제재 기조를 훼손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북한과의) 소규모, 시급한 민간 교류ㆍ지원은 긍정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도주의적 지원을 강조하는 민주당 전혜숙 의원의 질문엔 “당국과 상의해보겠다"면서도 "북한이 핵실험을 계속하고 미사일을 계속 쏘는 이 국면, 국제 사회가 대북 압박을 강화하는 이 시기는 한국도 동조해야 할 필요와 의무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