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과학기술부(장관 : 이주호)는 20일「제6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심의 절차를 거쳐「2012년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시행계획」을 확정하였다.
○ 동 계획은 작년 12월 마련된「과학벨트 기본계획」의 구체적 실행을 위한 첫 번째 시행계획으로서, 관계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마련한 세부과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과학벨트 시행계획」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 먼저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 환경구축과 관련해서는, 작년 연말 설립된 기초과학연구원의 기관운영을 안정화하고 연구·행정·정주시설 조성을 위한 기본설계를 본격 착수한다.
- 무엇보다도 세계적 수준의 25개 내외의 연구단을 구성하여 기초과학연구원을 글로벌 기초연구 거점의 초석으로 삼고,
- Young Pioneer Grant, 기초과학특화 학연협력대학원과정 등 세부 프로그램의 기획·운용을 통해 해외 우수과학자와 신진과학자의 참여 확대를 유도할 예정이다.
- 또한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의 상세설계를 추진하고 국내외 가속기연구소와의 협력을 통해 그 활용연구를 지원하고자 한다.
○ 다음으로 거점지구 조성과 관련해서는, 금년 2월 거점·기능지구 지정·고시를 기점으로 거점지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을 금년내에 수립하는 등 본격적인 거점지구 개발절차를 추진한다.
※ 거점지구(대전 신동·둔곡 지구), 기능지구(청원군·천안시·연기군(세종시))
- 또한, 거점지구와 인근 세종시에 외국인 생활권 조성계획을 수립하고 외국인 원스톱서비스 지원방안을 기획하며, 공간적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시설구축 공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 마지막으로 과학기반 비즈니스 환경구축을 위해서, 거점지구 내 입주 기업의 유치기준과 유치전략을 수립하는 등 기업 유치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 또한 기능지구의 과학비즈니스 혁신역량을 강화하고자 기능지구의 대학을 중심으로 과학-비즈니즈 융합 전문가(PSM) 양성 과정을 설치하고,
- 과학벨트 내 대학·출연(연)이 보유한 기초연구 성과의 후속 R&D를 추진하는 등 기능지구 과학비즈니스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 앞으로 교과부는 동 시행계획의 세부과제들이 차질없이 추진되어 과학벨트가 세계적 과학기반 혁신클러스터로 연착륙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할 계획이다.
<자료문의> ☎ 02-2100-8662 교과부 기획조정과장 장인숙, 사무관 조경옥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