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경부, 자동차·기계·섬유 등 18개 주요 업종 FTA 간담회 개최
□ 지식경제부는 조석 제2차관 주재로, 자동차?기계?섬유 등 18개 업종 단체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한-미 FTA 비준 및 한-EU FTA 발효에 따른 기대효과 및 전략적 활용방안을 논의함
< 업계 간담회 개최 개요 >
◈ 일시 및 장소: 12.13(火) 14:00~15:30(무역보험공사 11층 대회의실)
◈ 참석: 지경부 제2차관, 업종별 협회 등 약 25명
□ 금번 간담회에서 조석 차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대한민국의 무역 1조불 달성은 세계 무역사상 유례없는 엄청난 사건”으로 무역 1조불 달성을 이끈 우리 기업인들의 노고를 격려함
ㅇ 또한 우리나라는 거대 경제권인 미국, EU와 모두 FTA를 체결한 동아시아 유일의 국가로서, 무역 1조불을 넘어 2조불 시대로 나아가는 디딤돌로 FTA를 적극 활용하여야 함을 강조하면서,
ㅇ 우리 기업들이 전략적으로 FTA를 활용하여 수출 시장을 넓혀나가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와 협회단체, 기업이 힘을 모을 것을 당부함
< 한-미 FTA, 한-EU FTA로, 수출 기업에 날개를 >
□ 정부와 업계는 한-미 FTA, 한-EU FTA가 일본 등 수출 경쟁국들에 앞서 세계 최대시장인 미국과 EU 시장을 선점하고, 우리 경제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회라는데 공감함
* 韓-美 FTA 효과: 중장기적으로 GDP는 5.66% 증가, 對미 무역수지는 연평균 1.4억불 개선, 고용 35만명 증가가 예상(韓-美 FTA의 경제적 효과 재분석, ‘11.8.5)
* 한-EU FTA 효과: 중장기적으로 GDP는 5.62% 증가, 對EU 무역수지는 연평균 3.6억불 개선, 고용 25만명 증가가 예상(한-EU 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 ‘10.10.6)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