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장애학생의 체력 증진과 일반학생과의 통합교육 기회 확대를 위해, 2011. 12월 7일(수) 「장애학생 체육활동 지원 방안」을 발표하였다.
□ 그 동안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학생 건강증진과 체계적 처방 및 관리 등을 목적으로 ’09년부터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생건강체력평가(PAPS)를 단계적으로 확대·실시하고 있으나,
ㅇ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학생건강체력평가 종목·기준을 장애학생에게도 적용하고 있어 평가의 신뢰성·타당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 PAPS(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 학생 건강체력을 종목별로 측정하여 그에 따른 맞춤형 운동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학생건강체력평가제도
□ 뿐만 아니라 특수체육 교사 부족과 일반학교 체육교사의 장애이해 및 장애학생 체육프로그램 부족으로 장애학생이 체육수업에서 배제되는 사례도 발생하였고,
ㅇ 특히 신체적 어려움으로 인해 체육수업 참여에 대한 기회가 적어 체력저하나 비만 등 장애학생의 건강 문제에 대한 우려도 있어 왔다.
□ 이에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장애학생의 체력 증진과 즐거운 학교생활 지원을 위해 ,
ㅇ 맞춤형·통합형 체육활동자료 개발·보급, 장애학생 체육전담인력 역량 강화, 장애학생 체육활동 운영 내실화, 관련 부처 및 유관기관 협력을 골자로 하는 장애학생 체육활동 지원 방안을 마련하게 되었다.
□ (과제 1) 장애특성을 고려한 맞춤형·통합형 체육활동 자료가 개발·보급된다.
ㅇ 장애학생을 위한 장애학생건강체력평가(PAPA-D) 종목 및 기준, 신체활동처방 매뉴얼이 ’12~’13년까지 개발(특수학교 5종, 일반학교 1종)되고,
- 이를 기반으로 ’14년에는 NEIS와 연동될 수 있도록 장애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장애학생의 체계적인 건강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 장애학생건강체력평가(PAPS-D) : 장애학생의 건강체력평가의 신뢰성과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고안된 장애학생용 건강체력평가체계(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ㅇ 또한 시·도교육청에 1개 이상의「통합체육교과연구회」를 지정·운영함으로써 통합형 체육활동자료 개발·보급 등 일반학교에 배치된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기회 확대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 (과제 2) 장애학생의 체계적인 체육활동 지원을 위한 스포츠강사 등 체육전담인력 배치가 확대된다.
ㅇ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체계적인 체육활동과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따른 장애학생의 돌봄 및 여가기회 활용을 위해
- ’12년부터 스포츠강사와 토요스포츠 강사가 배치·확대되게 된다.
※ 스포츠 강사 배치 계획 : (’12) 157명 → (’13) 164명 → (’14) 175명
※ 토요스포츠 강사 배치 계획 : (’12) 157명 → (’13) 164명 → (’14) 175명
ㅇ 또한 체육전담인력을 대상으로 특수교육 관련 연수를 실시함으로서, 장애유형과 특성, 능력을 고려한 맞춤형 체육활동이 가능하게 된다.
□ (과제 3) 장애학생 체육활동 운영 내실화를 위해 ’12년부터 특수학교마다 장애유형을 고려한 특색체육활동이 실시되고, 장애학생 체육활성화를 위한 연구학교가 운영된다.
ㅇ 개인의 능력과 기질(비만 등)을 고려한 ‘1인 1운동’이 개별화계획에 따라 실시되고,
- 특수학교마다 장애유형을 고려한 특색체육종목을 선정·운영함으로써 다양한 체육활동에 대한 경험이 확대된다.
ㅇ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에 배치된 장애학생의 체육활성화 모형 개발 연구학교 운영(’12~’13)을 통해
-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어울림 체육환경이 조성 된다.
※ 연구학교(특수)운영 계획(5교) : 정신지체(1교), 청각장애(1교), 지체장애(1교), 시각장애(1교), 정서장애(1교)
※ 연구학교(일반)운영 계획(5교) : 유치원(1교), 초등학교(2교), 중학교(1교), 고등학교(1교)
□ (과제 4) 장애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부처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이 강화된다.
ㅇ ’12년부터 중앙, 시·도 및 시·군·구에 설치된 학교체육진흥위원회에 특수체육 관련 전문가가 참여함으로써 장애학생의 체육활동 지원이 더욱 강화되게 된다.
ㅇ 이 밖에도 장애인과 함께하는 ‘1일 체육의 날’ 수업이 연 1회 이상 실시되고,
- 장애학생이 체육행사에서 배제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 부처 및 유관 기관과의 공조 체제가 강화된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번「장애학생 체육활동 지원방안」을 통해 장애학생의 체력 향상과 더불어,
ㅇ 재활의지 신장, 긍정적 자아상 확립, 일반학생과의 통합교육 기회확대를 통한 공동체 의식 함양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