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시장은 물가나 경기 국면 등 거시경제 관련 뉴스에 비교적 큰 영향을 받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영일 부연구위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우리나라 주식시장 변동성의 거시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를 26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주식시장 변동성을 추세적 변화와 일시적 변화로 구분해 분석한 것이 특징이다.
김 부위연구원은 “주식시장 변동성은 시장 참여자가 접하는 뉴스에 영향을 받으며, 뉴스의 종류에 따라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의 지속성에 차이가 있다”며 “경기변동에 상응하는 거시경제 여건에 관한 뉴스는 변동성의 추세적 변화와 높은 관련성이 있는 반면, 시장 유동성 등에 관한 뉴스는 일시적인 효과만 줄 뿐”이라고 분석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이를 위해 1994~2009년 기간의 일별 코스피(KOSPI) 수익률 변동성을 추세적 요소와 일시적 요소로 나눠 각각의 특징을 살펴봤다.그 결과 해당 기간 중 코스피 일별 수익률 변동성에 추세적 변동성의 기여도는 2/3 정도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미국 NYSE(뉴욕증권거래소) 일별 수익률에서 추세적 변화가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 비교적 작게 추정되는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김 부연구위원은 “국내 주식시장이 장기적인 효과를 갖는 뉴스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주식시장의 추세적 변동성은 거시경제 변수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거시경제 여건의 안정이 주식시장의 안정에도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김 부연구위원은 “주식시장 변동성은 거시경제 상태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따라서 시장변동성의 변화는 거시경제 여건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지표로도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