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군 5전비, 4월 25일부터 29일까지『공정통제사 야전종합훈련』실시
“육군에 특전사, 해군에 특수전여단(UDT/SEAL)이 있다면 공군에는 공정통제사(CCT)가 있다.”공군 제5전술공수비행단(이하 5전비)은 4월 25일(월)부터 29일(금)까지 경남 의령군 산악지역 일대에서 공정통제사 23명과 C-130, CN-235 수송기와 HH-47 탐색구조헬기 등의 항공전력이 참여하는『공정통제사 야전종합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공정통제사(CCT : Combat Control Team)는 전시에 가장 먼저 적지에 침투하여 아측 수송기에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후속 물자가 투하될 지점의 안전을 확보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따라서 고유임무인 항공관제 뿐 아니라 공중 및 수상 침투, 장애물 제거를 위한 폭발물 설치 등의 능력까지 고루 갖춰야 한다.
이를 직접 연마하기 위한 이번 훈련은 저공 비행중인 수송기에서 공정통제사 요원들이 무장강하하면서 시작됐다.
강하를 마친 요원들은 경계조와 통제조로 나뉘어 임무를 개시했다. 경계조는 사주 경계를 실시하며 투하지역의 안전을 확보하고, 통제조는 후속 물자를 적재한 항공기의 유도를 위해 표지와 연막탄을 설치하는 한편, 기상과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항공기 조종사에게 제공하였다.
1시간 뒤 C-130과 CN-235 수송기가 임무지역에 접근하자, 공정통제사 요원들이 기상 상황을 고려한 최적의 투하시점(Release Time)을 결정하여 항공기로 전송하였고, 이에 맞추어 물자를 목표한 지점에 정확히 안착시키며 훈련 첫날의 주요 임무가 완벽하게 마무리되었다.
임무를 마친 요원들은 투하된 물자를 정리한 뒤, 곧이어 다음 목표 지점으로 산악행군을 시작했다. 이들은 앞으로 4박 5일간 산악지역일대에서 숙식을 하면서, 야간 비상활주로 항공기 접근 유도 및 화물투하 통제, 정찰-감시-매복 및 타격으로 이어지는 야간 적지 정찰 훈련, 야외 음식물 구득을 숙달하는 생환훈련을 실시한다.
특히, 이번 훈련은 공정통제사들이 취침 없이 칠흑과 같은 어둠을 뚫고 행군과 전술임무를 계속하는 ‘야간 지속훈련’ 을 실시함은 물론, 야간 항공기 착륙유도 및 물자 투하훈련을 실시하는 등 실전을 방불케 진행됐다.
훈련에 참가한 장태영 원사(부사후 119기, 51세)는 “적 후방 교란 및 교두보 확보 작전시, 강습부대 병력 및 물자가 적 수중에 들어가서는 안 되기 때문에 공정통제사가 가장 먼저 적지에 들어가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며, “교전 중에도 전투장비.탄약.병력을 공중 재보급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고 임무를 설명했다.
또 다른 훈련 참가요원인 이형곤 원사(부사후 149기, 43세)는 “공정통제사가 되기 위해서는 1년간의 자체 훈련은 물론, 육군 특전사 대테러부대, 해군 수중폭파반(UDT), 해병대 타군 특수부대에서 시행되는 최고난도의 훈련까지 총 2년간의 특수훈련을 거쳐야 한다”고 밝힌데 이어, “정식 요원이 된 이후에도 야간에 40kg 군장을 메고 험준한 산악고지 수십km를 이동하며 침투, 교전, 산악 이동, 아군지역으로의 탈출 등 살인적 훈련을 소화해 내야 한다”고 소개했다.
한편, 공정통제사는 베트남전에서 맹활약한 美 공군 CCT를 모델로 하여 중대급으로 1978년에 창설되었다. 2000년에는 동티모르 한국군 수송기 관제를 완수하였으며, 2005년에는 이라크 전장 공수를 맡고 있는 쿠웨이트 다이만 부대에 파병돼 완벽한 경호 및 대테러 임무를 수행한 바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