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남유럽 재정위기 사태와 관련해 국내 은행의 외화자금조달 상황을 점검하는 핫라인을 가동하는 등 금융시장 사전점검 체제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9일 오후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의 차관급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경제,금융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먼저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 및 국내경제 영향에 대한 면밀한 점검을 위해 당분간 강화된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고 관련기관별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긴밀하게 협조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와 국제금융센터는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하고 금융위, 금감원은 '비상금융통합상황실'을 통한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국내은행의 외화차입, 만기도래, 차환동향, 차입선 등 일별 점검하고, 이미 구축된 금융권과의 외환 핫 라인(hot-line)도 재가동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주식,채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유출입 동향, 펀드 환매 동향, 증권사, 자산운용사 자금 사정 등을 매일 점검하고 경제금융대책회의와 위기관리대책회의, 비상경제대책회의 등을 통해 종합점검 및 대응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아울러 상황변화에 대비한 대응계획을 재점검하고 시장상황에 맞추어 필요한 조치들을 취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G-20 차원의 국제공조를 주도하는 차원에서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지시로 이날 G20 재무차관 컨퍼런스콜을 개최하여 그리스 상황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부는 일단 현재까지 상황을 고려하면 그리스 재정위기 우려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했다.
금융시장의 경우, 개방화된 우리 경제의 특성상 글로벌한 상황에 따라 단기적으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으나, 남유럽 국가에 빌려준 돈과 이들 국가가 우리나라에 투자한 돈이 많지 않아 경제 연관성도 높지 않다는 것이다.
또 우리나라의 국가 부채는 지난해 말 350조원 수준으로 GDP의 33.8% 수준이어서 G20국가 평균인 80%에 비해 재정건전성도 양호한 편이며 외화 건전성도 단기 외채 비중이 경제위기 당시의 44%에서 현재 37%로 낮아져 매우 건전하며, 외환보유액도 2천788억 7천만 달러로 충분한 규모라는 것.
여기에 무디스사의 국가신용등급 상향조정 등으로 한국경제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진 점 등을 고려하면 우리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남유럽 국가의 재정위기가 확산될 우려가 제기되는 등 향후 국제금융시장이 어떻게 변화할지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 대책 마련에 나섰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