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배상익 기자 = 철도노조의 파업이 8일째로 장기화되면서 화물, 여객 할 것 없이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승객은 비싼 비용을 지불하는 KTX나 불편함을 무릅쓰고 고속버스로 발걸음을 돌리고 있는 상태다.
철도 수송률이 높은 시멘트 생산업계의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여기에 시멘트 생산에 필요한 유연탄도 100% 철도에 의존하고 있어 공장 가동이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코레일 측은 군과 퇴직 기관사 등 대체인력을 투입하면서 KTX와 수도권 전철, 통근열차는 정상운행하고 있지만 출근길 일부 열차 운행 간격은 다소 차질이 빚어지는 등 서민들과 업계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코레일 측은 오늘 새마을호는 59.5퍼센트, 무궁화호는 62.7퍼센트로 어제와 같은 수준으로 운행할 계획인데 화물열차는 평소의 22.7퍼센트인 68대만 운행하는 데 그치다보니 곳곳에서 물류 수송 차질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공공부문 선진화’ 워크숍에서 “적당히 타협하고 가서는 안된다”며 가이드라인을 제시 사실상 정부의 강경 대응을 주문했다.
이어 2일에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서울본부의 비상상황실을 방문해 “일자리가 보장된 사람들이 경제가 어려운 연말에 파업을 하고 있다”며 “지금 지구상에서 이런 식으로 파업하는 나라는 우리나라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해 이해 할 수 없다”고 말해 파업과 관련해 연일 노조에 대한 인식을 거침없이 밝혔다.
대통령이 전면에 나서서 노동조합에 대한 강경한 의지를 표명해 정부나 공사측은 협상의 여지가 없는 가운데 헌법이 보장하는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조차 불법으로 규정해 양측 모두 물러설 수 없게 됐다.
이런 가운데 철도공사는 이번 파업으로 60억 원의 이상의 손실이 난 것으로 추산된다며 노조 측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방침이다. 또 업무방해 등 혐의로 경찰에 고소한 192명도 징계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노조 측도 부당노동행위 등의 혐의로 사측 허준영 코레일 사장 등 간부 65명을 고소·고발하기에 이르렀다.
여기에 경찰은 1일 전국공무원노조의 사무실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또한 전공노에 대한 압수수색은 노조설립신고서 제출을 불과 6시간 남짓 앞두고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