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지표 개선VS가전, 가구 등 내구재 상품 부진
대형마트와 백화점의 매출이 전년에 비해 연속으로 늘어나면서 일부 경기회복 조짐이 보이고 있다.
16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5월 대형마트의 매출은 전년 5월보다 1.6% 증가했고 백화점은 매출이 5.4%씩 증가하면서 각각 두달 세 달 연속 매출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대형마트의 경우 지난달 상품군별 스포츠(7.7%), 식품(3.3%), 가정용품(3.2%) 분야의 매출호조가 전체 증가세를 이끌었고, 백화점은 명품(14.7%), 잡화(13.7%), 식품(8.0%), 여성 캐주얼(3.8%) 분야의 매출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가전 및 문화용품(-6.8%)과 의류(-1.8%) 매출은 줄었다,
백화점의 주요 상품군별 매출은 명품은 지난해 5월보다 14.7%증가하면서 높은 매출 신장율을 이어갔고, 잡화는 13.7%, 식품은 8%, 여성캐주얼은 3.8%, 아동스포츠는 3.2%, 가정용품은 0.5%가 증가했다. 반면 백화점에서도 여성정장(-4.6%)과 남성의류(-0.4%) 판매는 부진했다.
구매 건수는 지난해 5월보다 백화점의 경우 4.7% 증가한 반면 대형마트는 0.6% 줄었다.
구매 1건당 단가는 백화점이 6만7천155원으로 지난해 5월보다 0.7% 높았고, 대형마트는 구매 1건당 평균 4만4천289원으로 지난해보다 2.3% 높았다.
지경부 관계자는 “소비지표가 개선되고 있지만 가전, 가구 등 내구재 상품의 상대적 부진과 판촉행사 영향 등을 감안하면 아직 소비가 살아났다고 속단하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따라서 소비심리 개선의 척도인 내구재 매출이 여전히 부진한데다 경기와 무관하게 움직이던 명품 매출 증가세가 확연히 꺾여 소비경기가 회복됐다는 판단은 섣부른 것으로 보인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