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력검사 비만 해소에 중점...체지방 측정·심폐기능 강화
운동능력 평가 위주로 이뤄졌던 초·중·고교 체력검사 방식이 비만 해소와 심폐기능 강화 쪽으로 바뀐다. 또 검사 대상에 초등학교 1∼4학년도 포함되는 등 56년 만에 완전히 달라진다. 8일 교육인적자원부에 따르면 비만 및 심폐기능 허약 학생이 늘어나는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해 1951년부터 시행해온 ‘학생신체능력검사’를 ‘학생건강체력평가’로 개선해 운영한다.◆윗몸일으키기 없애고 허리엉덩이 비율 측정교육부는 최근 인하대·서울대 체육 담당 교수 등이 참여해 개발한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PAPS)을 올해부터 서울 수도여고 등 전국 18개 초·중·고교에서 시범 적용할 방침이다.현행 학생 체력검사 종목은 50m달리기, 1600m(여자 1200m)달리기,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제자리멀리뛰기, 윗몸일으키기, 팔굽혀펴기(여자 오래매달리기) 등 6개. 그러나 PAPS는 이들 종목 가운데 요통을 유발할 수 있는 윗몸일으키기를 윗몸말아올리기로 대체하고 페이서(왕복달리기)와 스텝, 종합유연성, 악력, 체질량지수(BMI), 체지방량, 허리엉덩이비율 등을 추가로 측정한다.측정은 종전의 운동기능 체력 대신에 건강체력 위주로 이뤄지며 현재 9∼10월 중 1회인 횟수는 4월과 10월 2회로 늘어난다. 건강체력이란 활력있는 일상생활 및 건강유지에 필요한 체력을 의미한다.초시계나 줄자 등을 이용해 분, 초, 횟수 등을 단순히 측정하는 방식도 바꿔 체지방분석기나 심폐기능측정기 등 다양한 IT 기기가 활용된다.◆ 칼로리 소비량 수시 측정체육교사는 체력수준에 따라 5등급으로 구분되는 측정 결과를 토대로 개별 학생에게 적절한 운동지식 습득과 운동 동기유발 교육을 실시하고 비만 학생에게는 운동을 통한 칼로리 소비량을 수시로 측정해 목표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기록하도록 해 수행평가에 활용한다.교육부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맞춤형 체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체육관이나 건강교실을 확충하고 체지방 및 심폐기능 측정기기 등을 전국 197개 교육기관에 우선 보급할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