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학회 이사장 재임시 측근 횡령사건 발생 미해결 -
제16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하 평통) 충북 단양군협의회 회장에 단양장학회 횡령사건으로 책임을 지고 물러났던 정하모 전 단양군수(74)가 선임 평통내부뿐 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단양군협의회 지난 24일 단양군청 2층 회의실에서 출범식을 갖고 회장에 31대 단양군수와 단양장학회 이사장을 역임한 정하모씨를 신임회장에 추대하고 자문위원 38명을 위촉했다.
그러나 정회장은 지난 6월 12일 자신이 이사장으로 재임하던 단양장학회 장학기금을 관리하던 A모씨가 1억1000여만을 횡령하고 잠적하자 장학회 부실운영과 도덕적 책임을 지고 이사장직에서 자의반 타의반으로 물러났다.
단양장학회는 지난 2006년 김동성 단양군수가 취임하면서 이를 같은 당 소속의 전 군수였던 정회장에게 민간이관하여 관리하다 당시 같은 당원으로 선거운동원이었던 A모씨를 장학회가 간사로 영입 장학기금운영을 맡겼으나 장학금지급을 부풀리는 방법으로 기금을 횡령사실이 드러났다.
경찰의 수사가 시작되자 잠적한 A씨는 아직 도피중인 가운데 80여억원이 넘는 장학기금을 방만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도 이를 관리, 감독해야할 단양군은 장학회 이사장과 간사가 현직 군수와 특수한 관계 때문인지 전혀 관리가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도피중인 A씨가 아직 검거되지 않은 상황에서 당시 이사장이었던 정회장을 비롯해 장학회 이사는 물론이고 이를 지도 관리해야 할 단양군 마져 아무도 책임지는 사람없이 그대로 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당시 도의적인 책임만 지고 물러났던 정회장이 경찰의 수사가 끝나지도 않은 상태에서 평통의 회장으로 취임하자 평통내부는 물론이고 지역사회에서 자격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평통 회장직은 선출직인 아닌 현직 같은 당 소속의 국회의원이나 단양군수가 추대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장학금 횡령사건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정회장이 회장직을 수행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지역의 정서를 파악하지 못하고 주민들의 여론을 외면한 채 국회의원이나 단양군수 등이 무조건 자기사람만을 심으려는 행태는 사라져야 하는 시대임에도 구태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이에대해 정하모회장은 “단양장학금 횡령사건은 당사자가 검거되면 본인을 비롯한 이사들이 책임을 지기로 했다”며 “부족한 부분을 이번 평통 회장을 수행하면서 남은 봉사의 기회로 삼기 위해 회장직을 수락했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