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수의 본고장 ‘대구 국수 열전’
  • 김진규
  • 등록 2013-07-05 11:15:00

기사수정
"국수의
여름 입맛에는 역시 국수가 딱 맞다. 특히 여름이 뜨거운 대구 사람들의 국수사랑은 대단하다. 그들이 즐겨 먹는 국수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어쩌면 무더운 여름을 거뜬히 이겨낼 시원한 비법을 찾아낼지도 모른다.
"푸짐하고
국수 소비량이 가장 많은 국수의 본고장
한국 사람들은 ‘밥심’으로 산다는 말이 있다. 오죽하면 만나서 하는 인사가 “밥 먹었니?”, “식사하셨어요?”일까. 그런데 밥 대신 한 끼 식사로 허용되는 음식이 바로 국수다. 떡볶이나 빵 등은 간식거리로 취급되지만 국수만큼은 밥 대용으로 당당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심지어 기다란 면발 때문에 무병장수나 백년가약 등 좋은 의미까지 곁들여 뜻 깊은 자리에서 나눠 먹기도 한다. 입맛 없는 여름이면 밥보다 사랑받는다.
"여름나기
우리나라에서 가장 덥기로 소문난 대구는 전국에서 국수 소비량이 가장 많은 국수의 본고장이다. 분지에 자리한 대구는 매우 덥고 습기가 적어 국수 생산에 가장 이상적인 환경을 갖췄다. 제분?제면 기계도 가장 먼저 도입했다. 풍국면, 별표국수, 곰표국수, 소표국수 등 국내 대표 국수회사들이 대구 지역에 자리를 잡으면서 전국 국수생산량의 절반을 넘기도 했다. 자연건조 방식에서 탈피한 국수공장들이 차츰 대구를 떠났지만, 73년의 역사를 지닌 풍국면은 여전히 대구가 국수 지존임을 알리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지역마다 특색 있는 국수들이 있다. 제주의 고기국수를 비롯해 전남의 팥칼국수, 부산의 밀면, 정선의 콧등치기국수, 의령의 메밀국수, 창녕의 수구레국수 등등 저마다 독특한 맛을 자랑한다. 국수의 본고장 대구의 국수는 ‘누른국수’다. 대구10미에 속하는 누른국수는 경상도식 칼국수의 애칭이다. 밀가루에 콩가루를 아주 조금 섞어서 반죽한 뒤 얇게 밀어 가늘게 채 썬다. 멸치에 다시마, 양파, 무, 대파 등을 넣어 우려낸 시원한 국물에 애호박과 여린 배추를 넣어 끓인 다음 김가루나 지단 등을 고명으로 올린다. 시원하고 담백한 맛에 영양까지 보탰으니 훌륭한 한 끼가 완성된다. 서문시장 국수골목에 가면 대구 사람들의 국수사랑을 한눈에 볼 수 있다. 300여 개의 국수가게가 빽빽하게 늘어선 골목이 누른국수를 먹으려는 사람들로 늘 북적인다.
"[왼쪽/오른쪽]서문시장
직접 밀어 장작불에 끓여내는 60년 국수 종가, 원조동곡할매손칼국수
대구에는 유명한 누른국수집이 많다. 그중에서도 원조동곡할매손칼국수(053-582-0278)는 대구를 대표하는 국수 종가다. 달성군 하빈면 동곡리에 있는 할매손칼국수는 대구 도심에서 40분 이상을 달려야 도착하는 외진 곳이다. 국수 한 그릇 먹으러 가기에는 제법 먼 길이지만 사람들은 점심시간마다 그곳으로 달려간다. 1950년대 초 동곡시장 안에서 국숫집을 시작한 이후 60여 년 동안 4대를 이어 운영하고 있다. 지금은 오일장도 사라지고 골목도 넓어졌지만 국수 맛은 변함없다.

식당 마당으로 들어서면 아궁이에 이글이글 장작불이 타고 있는 커다란 솥이 제일 먼저 눈에 띈다. 그 옛날 할머니가 끓여내던 방식 그대로 국수를 삶아내고 있다. 식당 안에는 2평 남짓 되는 작은 공간이 숨어 있다. 고개를 숙여야만 겨우 들어설 방안에는 시계며 선풍기며 전등 할 것 없이 뽀얀 밀가루를 뒤집어쓰고 있다. 그 방이 바로 누른국수가 탄생하는 공간이다. 이분학 할머니와 딸 강신조 씨가 그 방에서 국수를 밀었고, 이제는 아들 김권도 씨와 손자 김동형 씨가 국수를 밀고 있다. 국수 써는 도마가 2년을 못 버티고 납작해져버릴 만큼 많은 국수가 그곳에서 만들어졌다. 이 집 국수는 수수한 맛이 자랑이다. 시골 외할머니가 끓여주시는 그 국수 맛. 새벽부터 반죽하고 밀고 썰어 숙성시켜서 끓여내는 국수지만 먹을 때는 눈 깜짝할 새에 한 그릇 뚝딱이다.
"[왼쪽/오른쪽]달성군
줄 서서 먹는 특별한 국숫집들
대구에는 맛집으로 소문난 음식점 중에 국숫집이 유난히 많다. 식사시간을 피해서 가지 않으면 줄서기는 기본이다. 줄 서는 국숫집들의 면모를 살펴보자. 중동에 있는 지산골가마솥국밥집(053-765-4001)은 육국수가 맛있는 집이다. 육개장에 국수를 말아내는 육국수는 구수하고 얼큰한 맛이 일품이다. 소고기를 뭉텅뭉텅 썰어 넣어 칼칼하게 끓여낸 육개장에 부드럽고 담백한 소면이 어우러진 육국수는 대구 사람들이 쉬쉬하며 먹는 별미다. 지산골가마솥국밥집 외에도 온천골과 진골목식당의 육국수 맛도 소문이 자자하다.
북구청 건너 국수마을(053-355-4724)은 벌써 40년째 잔치국수만을 팔아온 집이다. 양은그릇에 가득 담겨 나오는 이 집 국수는 가격도 저렴하고 양도 많고 맛도 좋아 단골손님이 끊이지 않는다. 시원한 멸치국물에 치자물 들인 노오란 소면이 부드럽게 넘어간다. 양이 많은 줄도 모르고 먹다가 부른 배를 안고 식당을 나서게 된다.
"[왼쪽/오른쪽]지산골가마솥국밥집의
봉무할매묵집(053-981-9497)의 묵국수도 인기 만점이다. 이 집만의 맛의 비결은 도토리를 직접 갈고 면도 직접 뽑는다는 것. 도토리가루를 사다 쓰는 집들과는 차원이 다르다. 우선 그릇 크기부터가 남다르다. 푸짐한 양에 고소한 묵맛과 시원한 국물맛이 찰떡궁합이다. 묵국수는 국수요리 중 칼로리가 가장 적어 다이어트 음식으로도 최고다. 봉무공원 앞에 자리해서 식사 후에 공원 안의 단산지를 한 바퀴 도는 가벼운 산책을 할 수 있어 금상첨화다.

칠성동할매콩국수(053-422-8101)는 국수 좋아하는 대구 사람이라면 모르는 이가 없을 정도로 유명한 곳이다. 어느덧 40년 넘는 세월을 콩국수만 팔아왔다. 고소한 콩맛이 그대로 살아 있어 국물이 끝내준다. 굵지도 가늘지도 않은 면발이 콩국을 적당히 입안에 가져다주어 콩국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콩맛을 방해하는 김치는 없다. 그 대신 매운 청양고추와 맵지 않은 풋고추가 나온다. 곱빼기와 보통의 가격이 같으니 콩국수를 좋아한다면 자신 있게 곱빼기를 외쳐보자.
"도토리를
대구에서 서울로 진출한 미즈컨테이너
전통 국수는 아니지만 대구 국수사랑의 새로운 맥을 이어가는 이색 레스토랑이 있다. 바로 미즈컨테이너(053-428-4484). 1997년에 시작해 2010년에는 서울 강남에 매장을 열 만큼 인기 있는 집이다. 이 집의 대표 메뉴는 샐러드와 스파게티를 함께 먹을 수 있는 퓨전 국수요리 샐러드스파게티다. 커다란 볼에 특제 소스를 뿌린 스파게티를 담고 치커리, 상추 등 채소를 푸짐하게 올려 낸다. 새콤달콤한 소스와 신선한 채소가 탱글탱글하고 시원한 면과 멋지게 어우러진다.

맨 처음 대구대학교 학생회관 1층에 문을 열었던 미즈컨테이너는 샐러드스파게티를 먹으려고 몰려드는 학생들 덕분에 대구 동성로로 진출하게 됐다. 이후 서울 강남까지 진출해 영업시간 전부터 손님들이 줄을 서서 기다릴 정도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제는 유행처럼 번져 다른 곳에서도 먹을 수 있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대구에서 온 진짜를 맛보기 위해 긴 줄도 마다치 않는다. 대구의 힘! 더위도 이겨낸 지독한 국수사랑이 아닐까.
"공장을
여행정보
1.찾아가는길
* 자가운전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 → 시청, 신천대로 방향 → 침산교 지하차도 → 성북교 남단 교차로에서 북구청 방면 우회전 → 오봉오거리에서 북구청 방면 우회전 → 동산네거리에서 직진 → 서문시장

* 대중교통
서울→대구
- 서울고속버스터미널(1588-6900)에서 15~40분 간격(06:00-익일 01:30) 운행, 3시간 40분 소요
- 서울역(1544-7788)에서 KTX 1일 60여 회(05:30-23:00) 운행, 1시간 50분 소요
※동대구역에서 156번이나 급행1번 등 서문시장으로 가는 버스가 많다. 약 25분 소요

2.주변 음식점
원조동곡할매손국수 :누른국수 / 달성군 달구벌대로55길 101 / 053-582-0278 / korean.visitkorea.or.kr
지산골가마솥국밥 :육국수 / 수성구 수성로 232 / 053-765-4001 /
국수마을 :잔치국수 / 북구 원대로19길 16 / 053-355-4724 /
봉무할매묵집 :묵국수 / 동구 단산길 9-3 / 053-981-9497 /
칠성동할매콩국수 :콩국수 / 북구 중앙대로 614-9 / 053-422-8101 /
미즈컨테이너 :샐러드스파게티 / 중구 동성로3길 58-12 / 053-428-4484 /

3.숙소
히로텔 :중구 국채보상로 657-12 / 053-421-8988 / 굿스테이 / korean.visitkorea.or.kr
뉴그랜드호텔 :북구 칠성남로38길 46 / 053-424-4114 / 굿스테이 / korean.visitkorea.or.kr
크리스탈관광호텔 :달서구 달구벌대로 1910 / 053-659-7799 / korean.visitkorea.or.kr
엘디스리젠트호텔 :중구 달구벌대로 2033 / 053-253-7711 / korean.visitkorea.or.kr
유니온관광호텔 :중구 태평로 117 / 053-252-2221 / korean.visitkorea.or.kr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울산동구 제17회 방어진축제 성황리에 마쳐 [뉴스21일간=임정훈 ]제17회 방어진축제가 9월 6일 오후 5시부터 방어동 울산 수협 방어진위판장 일원에서 ‘함께 걷는 그대와 나, 우리는 방어진 사람’이라는 슬로건으로 성황리에 열렸다. 이날 행사는 김두겸 울산시장을 비롯하여 동구청장,국회의원, 지역 의원, 지역 기관 단체장, 주민 등 2,000여 명이 참여하여 뜨거운 축제의 열기로 가득 ...
  2. 울산 동구 마을교사 역량강화 교육 운영 [뉴스21일간=임정훈 ] 울산 동구는 마을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마을교육 활동 확대를 위해 9월 7일(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동구청 대강당에서 역량강화 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날 교육에서는 지역에서 활동 중인 마을교사 90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학생이 주도하는 배움 방식을 다루는 ‘프로젝트 수업의 이해’(강사...
  3. 중구, 2025년 간부 공무원 폭력 예방 특별 교육 실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9월 5일 오후 2시 중구청 대회의실에서 2025년 간부 공무원 폭력 예방 특별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에는 김영길 중구청장과 5급 이상 간부 공무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교육에서는 허지원 젠더연구소 대표가 강사로 나서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성 인지...
  4. 중구, 울산큰애기 마을교사 활동 공유회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9월 5일 오전 10시 30분 중구청 대회의실에서 2025년 울산큰애기 마을교사 활동 공유회를 개최했다.      이번 활동 공유회는 울산큰애기 마을교사의 활동 현황을 점검하고 상호 교류를 증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에는 김영길 중구청장과 울산시교육청 관계자,...
  5. 제44차 UN 세계평화의 날 울산시민행사 성황 [뉴스21일간=임정훈 ]제44차 유엔(UN) 세계평화의 날을 기념하는 울산시민행사가 5일 울산시의회 3층 대강당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NGO 단체 따뜻한손길이 주관해 마련됐다.이날 행사에는 이성룡 울산시의회 의장, 최종현 전 네덜란드대사, 이정일 울산시 국제관계대사, 최연충 추진위원장, 박병규 따뜻한손길 대표를 비롯해 다문화가정 시..
  6. 울산교육청, 나눔과 대화로 수업 성장 해법 찾는다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12일 다산홀에서 중고등학교 교원과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2025 수업 성장 나눔 대화의 날’을 열었다.      이 행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안착과 학생 참여 중심 수업 문화를 확산하고자 마련한 실천적 장으로, 현장 교원들이 수업 사례와 고민을 나누며 함께 ...
  7. 인공지능·디지털 연수로 학교 행정 효율 높인다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9일부터 12일까지 남구 종하이노베이션센터에서 교육행정직과 교육공무직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강화 연수’를 진행했다.      이번 연수는 인공지능과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실무 연수로 학교 행정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현장 행정 서비스의...
사랑더하기
sunjin
대우조선해양건설
행복이 있는
오션벨리리조트
창해에탄올
더낙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