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잇따라 불거진 버스, 택시, 지하철의 연쇄 파업 위기가 별탈없이 각각 첫 고비를 넘겼다.
하지만 택시의 대중교통 법제화를 놓고 대선 이후 택시 또는 버스의 집단행동이 불가피해 연말연시 다시 불씨가 지펴질 것으로 보인다.
11일 교통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으로 예고된 서울 지하철 1~4호선의 파업이 극적인 막판 타결로 철회됐다.
'시민의 발'인 주요 교통수단이 파업 직전 또는 직후 운행중단을 철회한 것은 최근 3주 사이에만 세 번째다.
지난달 22일 전국 버스 운행중단이 두 시간여만에 풀리고, 이달 7일 전국 택시 25만대의 여의도 비상총회가 잠정 유보된 바 있다.
하지만 택시를 대중교통 수단으로 공식 인정하는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대중교통법) 개정안이 대선 이후 연말께 임시국회에 상정될 예정이어서 또다시 큰 고비를 맞이할 전망이다.
대중교통법 국회 논의를 전후해 택시와 버스 업계가 모두 사실상의 파업 카드를 다시 꺼내들기로 방침을 정했기 때문이다.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 관계자는 "버스업계의 행동을 봐가면서 필요하면 임시국회가 열리기 전날 밤부터 미리 총회를 열거나 아니면 개정안 통과가 무산된 직후에 총회를 개최하는 방안을 놓고 저울질하는 중"이라며 "어떤 식으로든 30만 택시 종사자가 집결하는 비상총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말했다.
택시 25만대, 종사자 30만여명이 집회를 열면 실제로 전국 택시 운행이 거의 중단될 수밖에 없다.
만약 버스업계가 개정안 통과를 수용하고 국회가 예정대로 법안을 처리한다면 굳이 집회를 열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그럴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관계자는 "임시국회 일정을 잡아 대중교통법 개정안을 상정하면 우선 국회에 철회 요청을 할 것"이라며 "그럼에도 본회의를 통과한다면 지난달 버스 노사가 공동으로 결의한 대로 전면 운행중단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연합회와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은 이날 성명을 내 대중교통법 개정안의 입법철회를 촉구하고 법안 처리시 전면 운행중단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정부는 지난 6일 택시 단체들과 직접 만나 협의를 가진 데 이어 대선 직후 다시 한번 협상테이블을 마련한다는 계획이지만 타협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