겐바 외무상은 29일 오후 기자회견에서 노다 총리의 일본군 위안부 발언에 대한 한국의 반발과 관련, "발언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노다 내각은 과거 자민당 정권과 마찬가지로 고노 담화를 계승하고 있다. 한국은 이런 경위를 잘 조사해서 정확하게 이해했으면 좋겠다"고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을 덧붙였다.
위안부를 강제 동원한 증거가 없다는 요지의 노다 총리 발언을 재확인하면서도 위안부 강제 동원 사실을 인정하고 사죄·반성한 1993년의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관방장관 담화를 계승하고 있다는 이율배반적인 언동이다.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도 기자회견에서 "(고노 담화를) 역대 정권에서 계승해왔고 현 정권도 입장을 바꾸지 않겠다"고 겐바 외무상과 똑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위안부 강제 동원을 부정하고 싶지만 피해자의 생생한 증언과 사료의 존재로 인해 고노 담화를 소극적으로나마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일본 정부의 속내를 여실히 드러낸 셈이다.
조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28일 정례브리핑에서 "일본의 책임 있는 지도자가 위안부 피해자 동원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것은 과거 사과의 반성을 무효화하는 행위로밖에 볼 수 없다"고 비난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