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도 자이푸르 암베르궁
- 인도 라자스탄주 자이푸르 지구(地區, district)에 있는 도시로 라자스탄주의 주도이다. 주 동부의 참발강 지류에 면하고 수도 뉴델리로부터는 남서쪽으로 약 235...
- 2022-06-28
-
- 스위스 취리히
- 스위스 취리히주의 취리히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가장 살기 좋은 도시’이다.'작지만 큰 도시'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는 취리히는 스위스에서 가장 큰 도시이...
- 2022-06-28
-
- 제주 월정리 해수욕장
- 제주도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인 '월정리'는 '달이 머문다'는 뜻의 이름을 가진 서정적인 풍경의 마을이다. 아름다운 에메랄드 빛 바다가 한 폭의 그림...
- 2022-06-28
-
- 포르투갈 리스본 포르투
- 리스본은 포르투갈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들 중 하나다. 이베리아반도의 대서양 쪽 끝자락이자 유럽 대륙의 최서단 지점에 위...
- 2022-06-28
-
- 백두대간 박달령 마구령
- 박달령은 함경남도 신흥군과 덕성군의 경계에 있는 고개로 높이는 1,265m이다. 신흥군의 동쪽에 있으며 거두봉산맥의 중부에 솟아 있다.북동쪽 사면에서는 거...
- 2022-06-28
-
- 호자덩굴
- 숲속에서 자란다. 옆으로 자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퍼져나간다. 잎은 마주달리고 난형이며 길이 1~1.5cm, 나비 7∼12mm이다. 잎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고 ...
- 2022-06-28
-
- 청주 정북동 토성
- 청주 정북동 토성(淸州 井北洞 土城)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에 있는 성곽이다.1999년 10월 28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15호로 지정되었다.
- 2022-06-27
-
- 발리 골프장
- 아름다운 열대 자연과 세계 각지의 입맛을 사로잡는 미슐랭, 남녀노소 즐길 수 있는 휴양지의 매력이 가득한 곳으로 천혜의 자연경관과 많은 호텔 & 리조트, ...
- 2022-06-27
-
- 꽃여뀌바늘
- 남아메리카, 호주, 뉴질랜드, 북유럽, 남부유럽, 인도의 서부 등지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로 연못, 저수지, 호수 등에서 떠서 자란다.관상용으로 들여온 것...
- 2022-06-27
-
- 보리암
- 상남도 남해군 상주면(尙州面) 상주리 금산 남쪽 봉우리에 있는 절로 조선시대에는 이성계가 이곳에서 백일기도를 하고 조선왕조를 연 것에 감사하는 뜻에서 ...
- 2022-06-27
-
- 장성군 황룡강
- 황룡강(黃龍江)은 장성에서 임곡을 거쳐 광산 涌珍山과 魚等山사이를 지나 어등산 남쪽을 흐르다가 송정을 지나 나주로 흐르는 강이다. 황룡마을은 요새지로...
- 2022-06-27
-
- 스위스 루체른
- 루체른은 스위스 루체른주의 주도로 스위스에서 7번째로 큰 도시이다. 루체른호수와 맞닿은 로이스강을 끼고 있다.12세기 들어 고트하르트 고개의 무역로가 ...
- 2022-06-24
-
- 시흥 관곡지 호조벌
- 관곡지는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 있는 조선 세조 때의 연못이다.이곳에서 피는 연꽃은 백련으로서 빛깔이 희고 꽃잎은 뾰족한 것이 특징이다. 연못은 강희맹...
- 2022-06-24
-
- 종덩굴
- 잎은 마주달리고 5∼7개의 작은잎으로 겹잎이며 끝의 작은잎은 흔히 덩굴손으로 된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2∼3개로 ...
- 2022-06-24
-
- 무등산 의상봉
- 원효사에서 정상을 바라보면 그 아래로 우뚝 솟은 봉우리가 의상봉(550m)인데 위는 완만하지만 서쪽 사면은 절벽으로 준수한 경관을 이룬다. 의상봉은 중생대 ...
- 2022-06-24
-
- 스위스 알프스
- 스위스 알프스(Swiss Alps)는 알프스 산맥 중 스위스에 위치하는 부분을 말한다.스위스 알프스는 서쪽으로는 프티-생-베르나르 고개(col du Petit-Saint-Bernard )로부터 ...
- 2022-06-24
-
- 지리산 노고단
- 높이 1,507m로 천왕봉(1,915m), 반야봉(1,734m)과 함께 지리산 3대봉의 하나이다.백두대간에 속한다.
- 2022-06-24
-
- 제주 마라도
- 나라의 끝이자 시작인 최남단에 위치한 천연기념물이다.1883년(고종 20) 대정에 살던 김씨 일가가 대정 현감으로부터 개간 허가를 받아 입주하면서 마을이 형성...
- 2022-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