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년 세종학당 30곳 추가 총 90개소 운영, 해외 20개 지역에 전문교원 파견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광식)는 최근 전 세계적 한국어 학습 열기에 대응하여 외국인들이 ‘어디서든 쉽게 수준 높은 한국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문화부는 내년에 세종학당 30곳을 추가로 지정하는 한편 해외 20개 지역에 한국어 전문교원(20명)을 시범적으로 파견하고 전체 세종학당에 표준교육과정을 도입하는 등,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 접근성 확대, △한국어 교원의 전문성 강화, △세종학당 교육내용의 표준화 및 체계화를 위한 '2012년 한국어 세계화 3대 추진 과제'를 발표했다.
'2012년 한국어 세계화 3대 추진 과제' 발표
- 학습 접근성 확대, 교원 전문성 강화, 세종학당 교육 표준화
□ 첫째, 내년부터 누구나 쉽게 한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 접근성이 크게 확대된다. 문화부는 유럽, 미주 등 한류 확산 지역과 고용허가제에 따른 외국인력 송출국가 등 한국어 학습 수요가 높은 곳에 세종학당 30곳을 추가로 개설하여, 현재 60개 지역에 지정된 세종학당을 내년에 총 90개소로 확대한다. 문화부는 2013년까지 120개 이상의 세종학당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
□ 둘째, 해외 한국어 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도 강화된다. 문화부는 내년 세종학당과 현지 학교 등 해외 20개 지역에 한국어 교원자격증 소지자(20명)를 시범적으로 파견하기로 하였다. 이와 아울러, 현지인이 한국어 교원자격을 취득하여 전문적인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원양성과정 지원 대상을 올해 55명에서 내년 200명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 셋째, 세종학당 표준교육과정이 전 세계 세종학당에 도입된다. 지금까지 개별 세종학당별로 제각기 교육과정이나 교재를 사용하여 세종학당 교육의 표준적인 질의 관리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국립국어원에서 올해 말까지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내년부터 이를 전체 세종학당에 도입함으로써, 브리티시 카운슬이나 괴테 인스티튜트 등 해외 유수 자국어 보급기관처럼 단계별로 체계화된 언어 교육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 넷째, 전 세계 세종학당을 총괄적으로 지원하고 관리할 공신력 있는 기관(가칭 ‘세종학당재단’) 설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세종학당 설치 확대와 함께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영국, 독일, 중국 등 주요국처럼 자국어 보급을 체계적으로 보급하고 관리해 나갈 공적 기관이 절실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한류의 시작이자 종착점’, 한국어 세계화 집중 지원
□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프랑스 문화원에서 한국어를 배우던 수강생들이 케이 팝 한류의 진원지가 되는가 하면,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의 한국사랑 동아리 한국 클럽(Korea Club)이나 터키 앙카라의 코레팬즈(Korea Fans) 등도 세종학당 학생들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한국어 학습은 한류의 시작이자 종착점인 만큼, 내년 관련 예산을 확대하여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이고 집중적으로 한국어 세계화를 지원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