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중구,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10월 24일 경상북도 영주시 일대에서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를 진행했다. 구민감사관의 청렴 의식과 감사 역량을 높이고 행정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공동연수(워크숍)에는 구민감사관과 관계 공무원 등 16명이 참석했다. 이번 공동연수(...
▲ 사진=제주시■ 제주특별자치도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적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법정목표 비율(1%)을 초과 달성했다고 21일 밝혔다.
* 2020년 보건복지부의 “공공기관 중중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비율” 실적공표에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위(구매율 1.17%) 달성
* 「중증장애인생산품우선구매특별법 시행령」제10조 제3항에서 공공기관별로
총구매액(공사제외)의 1/100 이상을 중증장애인생산품으로 우선구매 하도록 규정
❍ 올해 11월 말 기준으로 제주도는 총 구매액(2,154억 8,100만원) 대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액(27억 8,100만원)* 비율이 1.29%를 차지하고 있다.
* 우선구매액 : 제주도 1.40%, 제주시 1.13%, 서귀포시 1.23%
❍ 제주도는 우선구매율 달성을 위해 매년 초에 우선구매 활성화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찾아가는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 독려반을 운영해 본 사업의 취지를 홍보하고 구매를 안내하는 등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일반 노동시장에 참여하기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을 고용하는 생산시설에서 만드는 생산품 또는 해당 시설에서 제공하는 용역 및 서비스에 대해 공공기관의 우선구매를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 도내 장애인 생산품은 인쇄물, 현수막, 화훼류, 복사용지 등이 있으며 장애인생산품 판매시설 1개소 및 직업재활시설 10개소에서 생산 및 유통 업무를 하고 있다.
■ 임태봉 제주도 보건복지여성국장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일자리 창출지원을 통해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 임 국장은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 증대가 중증장애인 일자리 창출과 처우개선으로 이어지는 만큼 중증장애인생산품을 더욱 적극적으로 구매해 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