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중구,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10월 24일 경상북도 영주시 일대에서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를 진행했다. 구민감사관의 청렴 의식과 감사 역량을 높이고 행정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공동연수(워크숍)에는 구민감사관과 관계 공무원 등 16명이 참석했다. 이번 공동연수(...

서부산권 해안공원이 연안정비와 개발 사업으로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생계를 위한 터전을 빼앗기는 어민과 해녀도 같이 늘어나고 있다.
케이블카 개통 이후 송도해수욕장 일대 상인들은 밀려드는 손님들로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지만, 이들 해녀는 내다 팔 해산물을 잡으러 가는 대신 구청에 모여 힘겨운 집회를 열고 있다.
1970년대 만들어져 이제는 서구 명물로 자리 잡은 암남공원 해녀촌 부지에 구청이 주차장 건설을 추진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애초 22일 구청의 해녀촌 철거가 예고됐지만, 철거 하루 전인 21일 법원이 해녀촌 조합이 제기한 '철거 행정대집행 취소 소송' 항소심 최종 판결이 나올 때까지 집행정지를 결정하면서 당장의 위기는 넘겼다.
하지만 지난 7일 1심 판결 때처럼 법원이 항소심에서도 구청의 손을 들어줄 경우 이들 해녀는 40년 넘게 닦아온 암남공원에서 내쫓기게 된다.
이들은 지난 2005년부터 추진된 해안정비 사업 등으로 다이빙대와 구름산책로, 오토캠핑장, 해상케이블카 설치 소식이 들릴 때마다 '공설해수욕장 1호'의 옛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뻐하던 자신들이 한심하다고 토로했다.
해녀 A씨는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하더라도 송도해안공원 발전 사업이 우리의 생계 터전을 앗아갈 것이라고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며 "주차장은 핑계고, 케이블카 내 식당이 해녀촌으로 손님이 몰려 장사가 안되니까 우리를 내쫓으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해안정비 사업으로 자신의 일터를 빼앗기는 곳은 서구뿐만이 아니다.
사하구 다대포 어민들 역시 해안 정비사업으로 자신의 생계 터전을 하루아침에 잃게 됐다.
파래 채취 어민들은 지난해 착공에 들어간 다대포해안 동측 연안정비사업으로 45년 운영해온 위판장의 문을 닫게 됐다.
위판장 인근 바다를 매립하고, 3m 높이의 친수공간을 조성하는 공사가 진행되면서 바다와 위판장으로 연결된 이동통로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몰운대 쪽 해안에 자갈과 돌을 투입해 방재호안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장을 망가져 어민들의 피해가 속출하기 시작했다.
영도구 동삼지구도 지난해 9월부터 시작된 바다 매립 공사로 수중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인근 미역 양식장 수확과 물질을 하는 해녀의 생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
70~80년대 호황을 이루다 동부산권 해수욕장에 밀려 쇠퇴의 길을 걷던 서부산권 해안공원이 지자체가 앞다퉈 정부기관과 손을 잡고 추진하는 정비사업에 방문객은 늘어났지만, 이곳 해녀와 어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