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의 상대동에 위치한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이하 진주기공)의 옛 건물과 부지의 활용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7일 도교육청과 지역주민들에 따르면 진주기공은 1971년에 건립된 기존의 학교시설이 노후화되자 도교육청의 BTL사업으로 190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기존의 학교부지 바로 인근에 착공 2년 5개월만인 2009년 5월 현대식 신축건물을 준공했다. 기존의 학교 건물과 부지는 2011년 3월부터 잠정폐쇄된 상태로 남아 있다.
이곳 주민들은 “몇 년째 방치되면서 미관상으로도 좋지가 않다. 그리고 법원·검찰이 이전하면서 공동화도 우려되는데 이제는 활용방안을 찾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통상적으로 일반에 매각하는 방안이 있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별 진척이 없는 상태다.
도교육청은 부지와 건물을 매각하는 방안을 2012년 교육위원회에 상정했으나 부결됐다. 교육적인 활용방안이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여기에 매각금액도 선뜻 인수자가 나서기 부담스럽다. 도교육청이 산정한 부지와 건물을 합친 가 감정가는 200억 원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경기 침체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기업 등이 뛰어들지 않으면 개인이 인수하기 어려운 금액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당초에 매각을 추진했으나 워낙 금액이 크다 보니 인수자가 기업 등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현재로서는 매각계획을 따로 수립하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매각이 어렵다면 도교육청이 자체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실제 박종훈 도교육감은 6·4지방선거 당시에 서부경남지역에 교육연수원 건립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기존 창원에 있는 연수원은 행정연수원으로 기능을 유지하고, 교육연수원은 서부경남에 건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것이다.
T/F팀이 구성되고 구체적으로 진행이 되어야 하겠지만, 건립에 따른 막대한 예산마련이 쉽지 않다는 전제하에 진주기공의 옛 부지가 후보지로 거론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일반 부지를 매입해서 할 것인지, 논의가 필요하겠지만 재원확보에 따른 기존의 폐교를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고 말했다.
부지매입에 따른 예산절감과 지리적 이점으로 제2교육연수원 후보지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진주시가 공익사업으로 매입하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연수원으로 자체 활용하는 방안, 지자체에서 공익사업으로 편입하는 방안, 일반 매각하는 방안 등이 있지만 아직까지 진주기공의 옛 부지와 건물에 대해 확정된 사안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