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경기도에서 불량식품을 만드는 식품위해사범이 발붙일 곳이 사라질 전망이다.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경기도(도지사 김문수)는 올해 도민 건강을 위협하는 불량한 먹거리를 뿌리 뽑기 위해 도 특사경 수사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도 특별사법경찰단은 그간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산발적으로 실시되던 불량 먹거리 단속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가용인력 82명 전원을 투입해 동시다발적 집중 단속을 실시한다.
특히 어린이에게 판매되는 불량식품, 음식점의 원산지 허위 표기, 가짜 참기름 등 무하가 식품, 불량 고춧가루 등 김장철 농산물, 유원지 음식점 및 집단급식시설의 식중독 유발, 불량한 명절 성수품 등 6가지에 대해서는 강력한 단속을 통해 반드시 근절키로 했다. 이미 적발된 업소와 지역은 책임관리제를 통한 반복 단속 등 집중 관리할 방침이다.
도는 이를 위해 농축수산물 관계부서 관계자 대책회의 등 공조체계를 강화하고 정보채널을 다양화하는 등 수사활동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특히 위해정도가 심한 악질 사범은 압수수색 영장청구 등 강력하게 대응하기로 했다.
도 특사경 관계자는 “먹거리로 장난하는 사람들은 더 이상 경기도에 발붙이지 못하게 될 것”이라며 “경기도에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식품이 유통되도록 모든 수사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도 특사경은 원산지 허위표시 등 124건, 위생관리 부적정 268건, 기타 171건 등 총 563건을 적발하여 형사조치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