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Who’s next in China’
  • 편집
  • 등록 2009-12-07 14:37:00

기사수정
  • 전시오프닝 : 2008년 12월 11일 목요일 오후 5시-8시

중국 현대미술은 그 실체가 무엇인지도 파악하기 어려운 짧은 시간동안, 어느 덧 거대한 물결이 되어 우리 옆에 바짝 다가와 서 있다. 해외 유수의 미술관은 물론 한국의 여기 저기에서도 중국현대미술의 흐름을 보여주려는 전시가 줄을 잇고, 베이징에도 미술전문 구역이 형성되었다. 최근에는 해외 옥션에서 중국 어느 작가의 작품이 최고가에 낙찰되었다는 소식이 화제다.
 
하지만 이러한 급성장의 이면에는 보다 먼저 중국현대미술을 소개하려는 선점권 쟁탈 경쟁이 있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은 중국의 국가적 향방 뿐 아니라 중국현대미술의 미래를 점치는 하나의 기준과도 같았다. ‘그 (올림픽) 때까지는 지속적으로 상승곡선을 탈 것이다’ 라는 기대가 작가에게도, 갤러리에도, 그리고 컬렉터 사이에서도 있었다.
 
그 올림픽이 끝나고 난 지금, 중국 현대미술은 검증과 자생을 거쳐야 하는 숙제를 안고있다. 저 멀리 거장의 반열에 오른 몇몇 스타 작가들을 제외하고, 중국사회의 정치문화적 변화에 촛점을 맞췄던 작가들은 국제화의 장대를 어떻게든 넘어야 할 것이다. 개성적인 이미지를 깊게 각인시키며 이목을 끌었던 작가들은 그것을 넘어  멀리 뛰어야 할 것이다. 올림픽이 끝난 지금, 비로소 중국 현대 미술은 진짜 게임이 시작된 것이다.
 
일찌기 ‘Made in Asia’ 전시 등을 통해 중국현대미술을 지속적으로 소개해왔던 오페라갤러리에서는 차세대 유망주들을 선보이는 Who’s next in China 전시회를 기획하였다. 본 전시에 소개될 작가들은 소위 ‘중국현대미술’이라 이름붙여진 경향의 흐름을 계승하면서도 작가만의 독창성과 시대적인 당대성을 담고자 부단히 노력하는 이들이다.
 
장 웨이, 친 펑링, 왕예한은 이미 스타가 된 중국미술의 주류작가들과 동일한 1950년대 출생 세대이지만, 과감하게 부조 릴리프를 이용한 팝 적인 작품을 선보인다든지 (장 웨이), 튜브 물감을 그대로 짜서 만화와 같은 이미지로 화면을 구성한다든지 (친 펑링), 캐나다에서 그래픽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모던한 추상화면을 그려내는 등 (왕예한), 그간 보아왔던 중국현대미술가들과는 차별화된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들은 더 이상 변화하는 중국사회의 격변이라든지, 이념의 변화 등 중국 작가들이 보여줄법한 이미지라고 짐작되는 스타일을 반복하지 않는다. 그들은 이제 ‘현대’ 예술가로서 이 시대의 문제를 논하며, 중국의 모습은 특별한 이슈가 아니라 그들이 속한 환경의 일부로 제시될 뿐이다.
 
오토바이를 타는 도시인의 이미지를 회화적으로 표현하는 리아오 전우, 전통 중국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내는 류 다밍, 전통 중국 포스터의 이미지를 우스꽝스러운 돼지 이미지와 배치시키는 것이 특징인 쑨 광화와 같은 60년대생 작가들은 스촨, 길림 등 지방미술의 특징을 살린 독자적인 예술언어를 확립해나간다. 하지만 하나의 아이콘으로 고착되거나 도식화된 긴장감을 추구하기 보다는 회화적이고 유머러스한 감성을 보여준다. 이들은 비판적 관점보다는 한결 자유로워진 입장에서 소재를 선택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특히 메인작가로 선정된 쑤에 쏭은 1965년 안휘 출신으로, 베이징에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다. 작품의 이미지는 사진, 잡지, 신문 등의 인쇄물을 태워 꼴라쥬한 것이다. 비어있는 인물의 실루엣은 구체적인 형상이 없이도 그것이 마오임을 짐작케 한다. 전통적인 이미지들이 현대의 일상과 뒤섞여있는 꼴라쥬는, 진지하다고도 혹은 가볍다고도 말할 수 없는 모순적인 상황을 제시한다. 하지만 그의 작업은 과거에 대한 고발 혹은 비판이라기 보다는, 작가 자신도 마찬가지이지만 중국 격변기의 상황을 경험하거나 목도하지 않은 관객들의 뇌리에 이미 하나의 문화로 구축되어 버린  중국에 대한 이미지는 무엇인지를 되묻고 있는 것이다.
 
시옹 친, 리 티엔빙, 우 팅화, 왕 시아오번 등 일찍부터 서구에서 생활을 하거나 적어도 그 영향권 아래에서 활동을 시작한 70년대 이후 출생 작가들은 미키마우스 등 개방화된 이래 중국에 유입된 아이콘들을 과감히 사용하며, 탈정체화된 특성을 보여준다. 중국작가의 작품임을 대번에 알 수 있었던 이전 세대의 작품과 달리 이들의 작품은 일본이나 한국 작가들의 작품과 유사해보이기도 하여, 중국의 젊은 작가들이기라기 보다는 ‘아시아의’ 나아가서는 ‘세계의 차세대 주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스 리루, 왕 치, 리 위두안 등 80년대에 출생한 젊은 세대들은 중국현대미술의 부흥이라는 조명 덕분에 일찍부터 세계의 이목을 받은 혜택받은 세대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이를 인식하기라도 한 듯 중국미술의 특징이라 할만한 것에 연연하는 듯 하면서도, 중국현대미술의 고정관념을 타파하려는 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오페라갤러리 서울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그동안 잘 알려져있지 않았던 중국작가들을 대거 소개함으로써 미래의 스타를 꿈꾸고 있는 중국 현대미술의  다양한 면면을 보여주고자 한다. 파악하기 어려운 하나의 큰 덩어리처럼 보여졌던 중국현대미술의 주름 속에 숨겨져있었던 흐름이 밖으로 나올 때, 이제 누구에게 스포트라이트를 보낼지는 관람자, 당신의 몫이다.
 
▶작품사진:친 펑링(Qin Fengling)- Heaven & Earth partial.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울산드론순찰대, ‘나눔:ON 페스타’서 시민과 함께 드론 안전 체험 부스 운영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드론순찰대(대장 임용근)가 지난 2025년 11월 7일 울산문화공원에서 열린 『프로젝트 나눔:ON 페스타』에 참여하여 시민들을 위한 드론 안전 체험 부스를 성공적으로 운영했습니다.  울산광역시자원봉사센터가 주최한 ‘따뜻한 나눔이 켜지는 순간’ 주제의 『프로젝트 나눔:ON 페스타』 참여 , "하늘에서 지...
  2. 울산 S-OIL 샤힌 프로젝트 현장, 비계 발판 붕괴… 근로자 다수 부상 [뉴스21일간=김태인 ]2025년 11월 19일 오후 5시경,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에쓰오일의 '샤힌 프로젝트 패키지1' 공사 현장에서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근로자들의 휴게를 위한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된 2m 높이의 비계 다리가 갑작스럽게 무너지면서, 이 사고로 총 7명의 근로자가 부상을 입었습니다.사고가 발생한 샤힌 프로젝트...
  3. 제1회 태욱가요제 11월 23일 개최 [뉴스21일간=임정훈]태욱엔터테인먼트는 오는 2025년 11월23일(일)오후3시30분, 부산 남구 용소로 78에 위치한 부산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제1회 태욱가요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장락, 정유나, 유명민, 홍다영 등 다수의 초대 가수가 무대에 오르며, 진성경아, 안진용, 김미경, 박윤창, 아랑고고장구 부산진구팀 등 다양한 장르...
  4. 통일 미래세대의 비전을 키우다: 우정초등학교, '평화통일 퀴즈대회' 성황리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민족통일 울산시협의회(회장 이정민)는 2025년 11월 14일(금) 오전 10시, 울산 우정초등학교 승죽관에서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화통일 퀴즈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미래 통일 주역인 학생들에게 올바른 통일관과 역사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마련된 이번 대회에는 이정민 회장과 이학박사 박성배...
  5. 제63주년 소방의 날 기념, 일산새마을금고 박학천이사장 소방청장상 수상 일산새마을금고[뉴스21일간=임정훈]2025년 11월 14일 (금) 울산동부소방서에서 제63주년 소방의 날을 기념하여 일산새마을금고 박학천이사장님이 소방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 소방청장상 ]을 수상하였습니다.이날 표창 전달은 울산동부소방서 우충길서장님이 대리 집행하였습니다.일산새마을금고는 지난 2008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
  6. 동구, 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동구청[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아동학대 예방 주간(11.19~11.23)을 기념해, 11월 14일 오후 2시 30분부터 방어동 화암초등학교 인근에서 아동 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홍보 캠페인을 했다.    이날 캠페인은 동구아동위원협의회, 울산동부경찰서, 아동보호전문기관, 동구 아동보호팀이 함께하는 민관 합동 캠페인으로, 20여...
  7. 일산동 아동‧여성지킴이회, 번덕경로당 어르신 식사 대접 일산동 아동,여성지킴이회[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 일산동 아동‧여성지킴이회(회장 김행자) 회원들은 11월 14일 오전 12시, 번덕경로당을 방문하여 관내 독거 어르신 40여 명을 대상으로 따뜻한 점심 식사와 간식을 대접하며 훈훈한 시간을 보냈다.    일산동 아동‧여성지킴이회는 매년 어르신들을 위한 식사 나눔 봉사뿐 아니...
사랑더하기
sunjin
대우조선해양건설
행복이 있는
오션벨리리조트
창해에탄올
더낙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