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강화군 강화읍 남산리 공설묘지에서는 6.25 당시 전사자로 추정되는 유해발굴 개토제 및 시삽식이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최한영 강화부군수를 비롯해 강화독립부대유격군동지회(회장 이석군), 전사자 유가족, 유해발굴감식단원, 해병대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됐다.
이번, 발굴은 1951년 5월경 적 후방 교란과 아군 지원을 위해 강화지역 군인과 유격대원등이 개성 상륙작전을 벌이다 사망한 전사자들을 찾기 위한 것이며, 또한,발굴단은 수습된 유골에 대해 DNA 분석 작업을 벌여 끝까지 유가족의 품으로 돌아가도록 할 계획이다.
이날, 이용석 국방부 유해발굴단 발굴과장은 인사말에서 고귀한 주검이 이름모를 산야에 흩어져 50여년이 흘렀다."며 전사자 유해소재 제보가 없이는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주민들의 제보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전과 관련해 미쳐 수습되지 못한 유해가 13만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와 관련해 우리나라는 미 JPCA(합동전쟁포로/실종자확인사령부)를 본떠 세계에서 두 번째로 국방부 직할 유해발굴감식단을 운영중에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