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청소년 10명 중 4명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27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디지털 정보격차·웹 접근성·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42.6%로, 전년보다 2.5%포인트 늘었다.
또, 유아·아동층 비율도 25.9%로 0.9%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성인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22.4%, 60대 11.9%로, 전년 대비 각각 0.3%포인트, 1.6%포인트 줄었다.
스마트폰 이용자 전체로 보면, 과의존 위험군의 비율은 22.9%로 전년보다 0.2%포인트 줄었다.
2022년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23.6%로, 지속적으로 수치가 떨어지는 추세다.
과의존 위험군은 고위험군과 잠재적 위험군을 포함하며, 고위험군의 경우 60대를 제외한 다른 연령층에선 전반적으로 변화가 없었던 데 반해, 60대는 2022년과 2023년 3.0∼3.1%에서 지난해 3.7%로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17개 시도 1만 가구를 대상으로 1대1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