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 사진=연합뉴스여야 의원들이 인도네시아의 국산 전투기 KF-21 분담금 미납과 관련해, 끌려다녀서는 안 된다며 차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강조했다.
국민의힘 의원인 한기호 국방위원장은 오늘(16일) 방위사업청 국정감사에서 “언제까지 인도네시아에 끌려다니냐”며 “현재 (인도네시아) 국방장관이 (대통령에) 유력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 사람이 모든 판을 뒤집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플랜B를 꼭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설훈 의원도 엄동환 방위사업청장에게 “단호한 모습을 보여주지 않으면 계속 끌려가서 손해만 보는, 밑지는 장사만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비판했고, 같은 당 기동민 의원도 “다른 공격력 무기 구입에는 선뜻 비용을 지불하면서 상당히 오랫동안 (분담금 납부) 계획 부분은 지키지 않는 당사국의 선의에 기대선 안 된다”고 가세했다.
이에 대해 엄동환 방사청장은 “이달 초 인도네시아를 방문해 국방장관과 대통령 비서실장을 만나 2024∼2026년 3년에 걸친 분담금 반환 계획을 요구하고 10월 말까지 (계획을) 제출 안 하면 사업 전반에 대한 원전 재검토를 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국방부와 KAI(한국항공우주산업) 등 3자가 모여 플랜B를 검토하고 (계획) 수립 시 국회에 보고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인도네시아는 국산 초음속 전투기인 KF-21의 전체 개발비 8조 8000억 원의 20%인 약 1조 7000억 원을 2026년까지 부담하는 대신 비행 시제기 1대와 각종 기술 자료를 이전받은 뒤 차세대 전투기 48대를 인도네시아에서 현지 생산하기로 한 바 있다.
하지만 인도네시아는 지난 2019년까지 2,272억 원만 납부한 뒤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4년 가까이 분담금을 납부하지 않다 지난해 11월 94억 원과 올해 2월 약 417억 원만 추가 납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