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 [SHUUD.mn=뉴스21통신.무단전재-재배포 금지]외교부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일본 정부가 사용하는 용어인 ‘처리수’로 변경해 부르는 방안은 검토한 바 없다고 밝혔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11일)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는 일관되게 ‘오염수’라고 부르고 있고 ‘처리수’로 변경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검토한 바가 없다”고 밝혔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 사고가 난 후쿠시만 제1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는 도쿄전력이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정화해 원전 부지 내 저장탱크에 보관하고 있는데, 일본 정부는 이 물이 정화 과정을 거쳤다는 점을 내세워 ‘처리수’라 부르고 있다.
임 대변인은 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시찰단 파견과 관련해 “용어나 표현의 차이보다는 IAEA 검증과는 별개로 우리 국민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우리나라 전문가들로 구성된 현장 시찰단을 파견하게 된 것은 그 자체가 매우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내일(12일) 원안위 등 관계부처도 참석하는 한일 국장급 협의에서 우리 시찰단이 오염수 정화처리시설, 해양방출 관련 설비 운용 방식 등 과학적이고 기술적 안정성 분석에 필요한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본 측과 협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번 협의를 통해 시찰단 활동과 범위 등 종합적인 사항을 협의하게 된다”며 “앞으로도 화상회의 등을 통해 계속 소통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또 외교부는 이번 시찰단은 타이완의 시찰단 파견과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전문가 규모 등을 단순 비교할 수 없고, 시찰단 구성 등은 내부 검토를 통해 최종적으로 결정된다고 말했다.
이밖에 코로나19 엔데믹 선언에 따른 여행경보 단계 등 변화 여부에 대해서는 입국규제 방역과 관련해 별도 조치를 하고 있지 않다며, 앞으로 필요한 조치가 있는지 확인해보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