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넘게 우리 정부와 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가 벌여온 국제 분쟁 정부가 최종 승소
대한민국이 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와의 국제투자 분쟁에서 최종 승소했다.2012년 론스타가 우리 정부에 손해 배상 책임을 물으며 국제 중재를 제기한 지 13년 만.국무총리실과 법무부는 승소 소식을 공동 발표했다.2003년 외환은행을 산 뒤 되팔아 5조 원 가까운 차익을 챙긴 론스타.그러고도 한국 정부가 매각 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해 '고가...
학생이 주인공이 되는 교실, 울산교육의 수업 혁신을 이끄는 교사들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학생 한 명 한 명의 성장과 배움을 최우선’ 목표로, ‘학생 중심 배움 수업’을 적극 장려하며 교실에 활기찬 변화를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끊임없이 연구하고 도전하며 아이들의 잠재력을 활짝 꽃피우는 현장 교사들의 헌신과 열정이 있다. 학생이 수...
▲ 사진=LG CNSDX 전문기업 LG CNS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모바일 사원증 ‘띠딧TM’을 공식 출시하고, 사내 임직원 대상 서비스에 착수했다.
LG CNS 모바일 사원증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띠딧’을 검색 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iOS 버전 모두 제공된다.
모바일 사원증 띠딧은 기존 플라스틱 카드 형태 사원증 기능을 완벽하게 대체한다. 띠딧을 사용해 사내 있는 모든 게이트 출입, 식당·카페 결제, 피트니스 출입 등 신원 증명이 필요한 곳에서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인증할 수 있다. LG CNS는 복합기 사용, 통근버스 탑승과 재직증명서, 원천징수 영수증 등 각종 증명서 발급, 전자계약 서명 기능도 곧 오픈할 계획이다.
모바일 사원증에는 블록체인 DID(Decentralized ID) 기술이 적용됐다. DID는 ‘내 정보는 내가 주도적으로 관리한다’는 ‘자기주권 신원 증명(Self-Sovereign Identity)’ 개념을 구현해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모바일 신원·자격 인증 기술이다. 공인인증서 등 개인정보를 제3기관의 중앙서버에 저장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스마트폰 등 개인의 기기에 정보를 분산시켜 관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보 소유권을 개인에게 돌려준다는 의미이자 개인정보의 탈중앙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DID는 블록체인 기술의 기본개념을 따른다. 중앙서버에서 거래 내역을 인증하지 않고 모든 사용자의 거래 내역을 ‘블록’에 분산 저장, 그 블록들이 연결된 체인(사슬) 즉 공공거래장부에 기록된 내역을 비교해 거래를 인증하는 것이 블록체인 기술이다.
모바일 사원증 사용자는 자신의 신원정보를 스마트폰에 직접 소유한다. 신원 증명이 필요한 서비스 이용 시 필수 정보만 제공해 인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출입의 경우 모바일 사원증에 담긴 사원 번호,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사진, 월급계좌와 연계된 카드 ID 등 여러 개 정보 중에 사원 번호만 제공해 LG CNS 직원이 맞는지만 확인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DID 기술이 적용된 모든 모바일 신분증에서 활용 가능하며, 해킹이나 개인정보 유출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스마트폰 분실 시에는 신고를 통해 모든 권한을 중지할 수 있다.
LG CNS는 DID 기술을 적용해 행정안전부 발행 ‘모바일 운전면허증’ 구축을 올해 7월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LG CNS가 구축한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국가가 공식 발행하는 유일한 모바일 신분증이다. 관공서나 금융기관에서도 신원 증명이 가능하다.
LG CNS는 지난해 초 모바일 공무원증도 구축한 바 있다. ‘모바일 공무원증’은 대한민국 중앙부처 공무원들의 청사 출입, 업무 포털 등 25개 업무시스템 사용을 위한 신원 증명에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