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서울숲더샵에 '스마트 흡연부스' 설치 모두에게 쾌적한 상생공간 조성!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최근 업무시설 입주로 흡연 인구가 급증한 '서울숲더샵' 인근에 성동형 스마트 흡연부스를 신규 설치하고 지난 11월 11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성동형 스마트 흡연부스'는 성동구의 대표적인 스마트 포용 정책이다. 2022년 11월 성수동 디타워 앞 시범 설치를 시작으로, 흡연 민원 ...
▲ 사진=사람인 제공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기업 560개사를 대상으로 ‘채용 과정에 인공지능(AI) 도입’에 대한 생각을 조사했다.
응답기업의 절반이 훌쩍 넘는 58.8%는 ‘채용에 인공지능이 도움된다’고 보고 있었다. 이들 기업은 ‘시간 및 노동력 투입의 감소로 채용 비용 감소’(54.4%, 복수응답)를 인공지능의 가장 큰 효용성으로 보고 있었고, ‘인사담당자의 불필요한 업무 줄여 채용 효율성 향상’(48.9%), ‘채용 과정의 공정성 및 투명성 확보’(46.5%), ‘묻지마 지원자 등 허수를 빠르게 제외할 수 있어서’(31%), ‘객관적 평가 가능’(27.1%) 등이 이어졌다.
하지만 실제로 인공지능 채용 솔루션을 도입한 기업은 겨우 6.1%에 그쳤다. 대부분은 ‘AI 역량평가’(76.5%, 복수응답)를 활용하고 있었고, ‘AI 화상면접’(29.4%), ‘AI 자기소개서 분석’(26.5%) 등의 순이었다.
현재 도입을 안 한 기업들도 향후 도입의사 여부에 대해서는 46%가 ‘채용과정에 인공지능 도입 할 의향 있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은 채용 과정 어느 부문에 가장 도움이 될까. 기업들은 ‘서류전형’(60%, 복수응답)을 1순위로 꼽았다. 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어 ‘인적성검사’(37.3%), ‘모든 전형에 다 도움’(15.7%)의 답변이 이어졌다.
인공지능이 가장 채용 효과를 낼 수 있는 직무로는 ‘재무/회계’(34.8%, 복수응답)가 1순위로 꼽혔다. 다음으로 ‘IT/정보통신’(31.6%), ‘인사/총무’(20.9%), ‘제조/생산’(18.6%), ‘구매/자재’(18.2%) 등이 이어졌다. 사람을 직접 대면해야 하는 일이 많은 ‘서비스’(8.2%) 직무는 AI를 활용한 채용으로는 판단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았다.
기업들은 ‘인공지능 채용 시스템’에 대해서는 65.2%가 ‘긍정적’이라고 답변 한 만큼, 향후 채용 과정에 인공지능을 도입하는 기업들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화된 추천 공고 서비스를 가장 먼저 선보인 사람인은 인공지능 채용 솔루션 ‘MUST’ 서비스를 통해 기업들에게 차별화된 AI 채용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지원자의 단순 스펙이 아니라 직무 적합도, 실무행동패턴, 자기소개서 표절 가능성 등을 AI가 분석해 리포트를 제공해 채용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