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미포 임직원 및 봉사단체 초롱회, 맛김치 담아 동구지역 취약계층 150세대에 지원
동구종합사회복지관[뉴스21일간=임정훈]HD현대미포(사장 김형관) 임직원 및 대표 봉사단체 초롱회(회장 이경오)는 11월 20일 16시 울산동구종합사회복지관(관장 한영섭)에서 취약계층을 위한 밑반찬 김치나눔사업 ‘마음담아, 행복담아’ 5회차 사업을 진행했다. 이날 겨울철 식생활 부담을 겪는 가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25여명이 ...
▲ 사진=국립아시아문화전당경계와 여성 소외 문제를 실험적이고 대담하게 다룬 2편의 공연이 잇따라 한 무대에 오른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전당장 이강현)은 오는 19일 오후 3시 예술극장 극장1에서 ‘ACC_R 시어터’ 레지던시 사업 결과물인 ‘이 곳에 새는 없다!’와 ‘고요한 목소리’등 두 편의 공연을 각각 선보인다.
‘ACC_R 시어터’는 공연 예술 분야의 실험적이고 참신한 작품을 발굴, 공연의 최종 실연 전 창작 단계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장이다. 작품 제작을 위한 연구, 창작·개발 등 공연예술 분야 창작자가 완성되지 않은 작품을 보완할 수 있도록 기반을 제공한다.
국제 공모를 통해 선정된 프랑스 메디 파라즈푸어 (Mehdi FARAJPOUR)와 이탈리아의 빌로우라 인터컬처럴 아트 콜렉티브(BILOURA Intercultural Arts Collective) 등 두 해외 창작진은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간 ‘국경과 분열’, ‘여성 소외문제’를 주제로 연구, 창작 및 작업 개발을 거쳐 이번 공연을 발표한다.
나의 것, 너의 것, 그들의 것으로 나누는 경계 이야기
“이 곳에 새는 없다! No More Birds on my Side”
이란 출신의 프랑스인 메디 파라즈푸어(Mehdi FARAJPOUR)가 연출한 ‘이 곳에 새는 없다!’는 경계·국경과 관련한 고민을 현대무용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자신과 타인의 소유를 나누는 경계, 과거와 현재, 미래의 시간을 분리하는 경계 등 우리사회 속에 이뤄지는 다양한 경계가 야기하는 제한, 억압, 폭력 등을 영상과 몸짓으로 들여다본다.
여성의 소외문제, 무용·영상·소리로 풀다
“고요한 목소리 Silent Voice”
이탈리아의 빌로우라 인터컬처럴 아트 콜렉티브(BILOURA Intercultural Arts Collective)는‘고요한 목소리’공연을 관객에게 선보인다. 매춘, 인신매매 등 민감한 사회적 주제를 춤과 영상, 소리 예술 등으로 접근한다.
한국의 피해 여성들, 사회 복지사, 인권 운동가의 증언을 기반으로 우리가 애써 외면하고 감추려 하는 성매매 문제와 착취 뒤에 가려진 여성들을 집중 조명해 숨겨진 목소리들을 무대 위에 펼쳐 놓는 작업을 보여준다.
두 작품 공연시간은 각각 50분이며, 15세 이상 관람 가능하다. 시범공연이 끝난 뒤 생생한 작업 과정을 들을 수 있는 창작자와 대화의 시간도 마련했다. 콜렉티브 에이의 예술 감독이자 현대무용가인 차진엽이 진행자로 참여, 작업에 대한 깊은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ACC 누리집(www.ac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