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경기도가 올해 파주·김포 등 접경지역 7개 시·군을 대상으로 30억 원 규모의 ‘2020년도 접경지역 빈집 활용 정주 여건 개선 공모사업’을 시행한다.
‘접경지역 빈집 활용 정주 여건 개선 공모사업’은 분단 이후 군사시설 보호구역, 수도권 규제 등 각종 중첩규제로 발전이 더뎌지고 있어 인구가 유출되고 있는 접경지역 마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데 목적을 둔 사업이다.
주요 지원사업 내용은 접경지역 마을 내 빈집들을 활용해 소득창출시설 및 생활편의시설 구축, 건물 리모델링, 마을 경관 조성 등 전반적인 정주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며, 도-시군 매칭사업[도비 50%(15억 원), 시, 군비 50%(15억 원)]으로 총사업비 30억 원이 투입된다.
사업 대상은 역사·문화, 자연경관, 특산물 등 특색 있는 관광 및 특화자원을 갖췄지만, 소득·편의시설 등 기초 인프라가 부족한 접경지역 7개 시군(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 소재 마을이다.
도는 오는 23일까지 시군을 대상으로 공모 실시, 이후 선정위원회를 열어 1차(현장·서류)·2차(PT) 심사 등의 절차를 거쳐 올 2월 말경 최종적으로 마을 1곳을 사업 대상지로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선정 시 주요 고려사항은 취약계층 비율 또는 고령자가 30% 이상, 빈집 및 30년 이상 노후·슬레이트 주택 비율이 50% 이상, 생활 인프라(도서관, 문화‧복지 시설 등) 미건립 지역, 수익창출 시설 건립 시 지속적으로 수익이 발생 가능한 지역, 사업효과가 크고 다수가 수익을 공유하는 특화사업이 가능한 지역 등이다.
특히 선정된 마을에는 전문가 현장 컨설팅을 해 사업에 대한 방향성 및 전문성을 높일 예정이다.
또한, 지속 가능한 사업 추진을 위해 ‘주민역량 강화교육’ 프로그램을 지원, 마을 사람들이 주민공동체, 마을 기업 등 법인을 설립해 조성된 시설을 직접 관리·운영할 수 있게 한다는 구상이다.
정상균 균형발전기획실장은 “이 사업은 ‘특별한 희생에 대한 특별한 보상’이라는 민선 7기 도정 철학에 맞춘 마을재생·주민공동체 활력 사업”이라며 “마을 주민들이 실질적으로 정주 여건 개선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2018년에는 연천 백의 2리, 2019년에는 양주 봉암리를 대상지로 선정해 빈집 활용 정주 여건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