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평원, 11대 암 질환 입원일수·진료비 공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국민의 알권리 신장과 의료 이용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11대 암 질환을 대상으로 입원일수와 진료비 분석자료를 심평원 홈페이지(www.hira.or.kr)에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 예를 들면 위암으로 병원 등 요양기관에 입원해서 위부분절제술을 받게 될 경우 며칠이나 입원해야 하는지, 또 진료비는 얼마나 나오는지 등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심평원은 2006년 하반기 중 건강보험 적용 대상자가 암 질환으로 요양기관에 입원해 진료 받은 내역을 요양기관 규모별로, 수술받은 경우와 방사선·항암치료 등 내과적 치료만 받은 경우로 구분한 뒤 이를 다시 합병증·동반 상병 유무에 따라 경증과 중증으로 나눠 분석자료를 산출했다. 심평원은 암 질환 중 발생빈도가 높은 순으로 11대암인 위암, 간암, 대장암, 폐암, 갑상선암, 유방암, 췌장암, 방광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식도암을 선정해 입원일수와 진료비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에 따르면 주로 대학병원에 해당하는 종합전문요양기관에 입원해 수술을 받은 경우 입원기간이 가장 긴 수술은 췌장암의 췌장전절제술(34.5일), 식도암의 식도절제술(28.9일), 췌장암의 췌장부분절제술(27.4일) 순이었고, 입원기간이 짧은 수술은 간암의 혈관색전술(5.5일), 방광암의 요관경이용 종양절제술(6일), 갑상선암의 편측절제술(6.2일) 순이었다. 진료비가 가장 많이 나오는 수술은 췌장암의 췌장전절제술(1156만4000원), 식도암의 식도절제술(1083만7000원), 간암의 간엽절제술(868만5000원)순이었다. 진료비가 적은 수술은 방광암의 요관경이용 종양절제술(123만6000원), 갑상선암의 편측절제술(127만6000원), 갑상선암의 양측절제술(172만9000원)순이었다. 또한 암 질환 중 가장 많이 받은 수술은 간암의 혈관색전술, 갑상선암의 양측절제술, 위암의 부분절제술 순이었다. 현황은 아래와 같다. 간암, 내과적 치료 위한 입원 기간 가장 길어종합전문요양기관에 입원해 방사선과 항암치료 등 내과적 진료를 받은 경우 방사선치료를 살펴보면 간암(18.3일, 414만5000원), 췌장암(17일, 390만2000원)·폐암(16.7일, 381만2000원)순이었다. 항암치료는 입원기간의 경우 간암(5.4일), 자궁경부암(5.1일), 난소암(4.8일), 진료비의 경우 난소암(170만5000원), 대장암(145만7000원), 폐암(123만3000원)순이었다. 지난해 하반기 중 11대 암 질환으로 요양기관에 입원해 수술 또는 내과적 진료를 받은 건강보험 환자를 성별로 살펴보면, 갑상선암을 제외한 대부분의 암이 남성에게서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식도암은 남성비율이 92.7%나 됐다. 연령별로 보면 갑상선암과 유방암, 자궁경부암은 40대, 난소암은 50대, 위암, 간암, 대장암, 폐암, 췌장암, 방광암, 식도암은 60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심평원은 이러한 암 질환을 비롯해 국민적 관심이 높은 질병·수술별 정보와 특수진료 실시기관 현황, 병·의원에 대한 평가결과 등의 정보 공개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11대 암 질환에 대한 진료정보는 심평원 홈페이지(www.hira.or.kr)의 ‘건강정보/진료정보안내/질병·수술별진료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단, 암 질환 정보 중 진료비는 상급 병실료 차액이나 선택진료비 등 보험적용이 되지 않는 비용을 제외한 공단부담금과 본인부담금을 합한 금액이므로, 실제 환자가 납부하는 본인부담금과는 차이가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