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환자 10명중 8명은 완치가 가능하고 조기발견시에는 9명 이상 완치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와 한국유방암학회는 지난 93년부터 2002년까지 10년 동안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4만 6,000여 명에 대한 5년 생존율 추이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분석결과 일반인구의 생존율과 비교했을 때 암환자가 생존할 수 있는 비율을 말하는 '상대생존율'이 유방암 환자의 경우 5년은 83.5%, 10년은 76.6%로, 유방암 환자 10명중 8명은 완치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암으로 처음 진단받은 때를 기준으로 최초 진단 당시의 병기별 5년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기 98.2%, 2기 91.7%, 3기 68.2%, 4기 30.5%로 나타났는데, 이는 유방암을 조기에 진단하면 환자 10명 중 9명이 완치가 가능하지만 진단이 늦어질 경우 완치 가능성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조사대상기간 10년 중 전반기 5년(1993년∼1997년) 생존율은 79.6%이나, 후반기 5년(1998년∼2002년)의 경우는 86.3%로 약 6% 증가했으며 이처럼 우리나라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이 높아진 것은 조기에 진단받은 유방암 환자의 비율이 증가한 것과 국내치료기술 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나라 유방암 상대생존율은 83.5%로 미국(87.0%)보다는 낮았고 유럽(77.0%) 또는 일본(78.0%)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복지부와 유방암학회는 지속적으로 유방암 조기 발견을 위한 국가암조기검진과 홍보를 강화하는 한편, 국내의료진의 유방암치료에 대한 선진화 등을 통해 유방암환자의 생존율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