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아침 한 끼가 만든 활기찬 등굣길… 제주서중 ‘든든한 아침, 활기찬 하루!’ 캠페인 성료
21일 아침, 제주서중학교 교문 앞은 특별한 온기로 가득했다. 이른 등굣길을 나선 학생들에게 밝은 미소와 함께 백설기와 식혜가 전해지며 학교 주변은 어느 때보다 활력이 넘쳤다. 농협 제주본부와 (사)참사랑실천학부모회가 함께한 ‘든든한 아침, 활기찬 하루!’ 등굣길 응원 캠페인이 올해 마지막 행사로 진행된 것이다. 이번 캠페...
▲ (사진=대구광역시청)대구시는 겨울 길목에 들어서는 11월 이후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시민들이 적극적인 예방활동과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겨울철은 기온이 급격히 낮아져, 미생물 등 세균의 증식이 낮아 식중독 발생건수가 줄어 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대구시의 최근 5년('13~'17) 식중독 발생건수 및 환자수(75건, 897명) 중 겨울철(11월 ~ 2월) 식중독 발생 환자수는 30건, 374명(42%)에 이른다.
이처럼 겨울철 식중독 환자수가 많은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노로바이러스 때문이다. 최근 5년간 겨울철에 발생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14건, 178명으로 겨울철 식중독 환자수의 48%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올해 대구지역에서는 아직까지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발생되지 않았지만, 전국적으로는 연초 평창올림픽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건을 비롯하여 현재까지 51건, 1,511명의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5년간 전국에서 발생된 식중독 원인균을 살펴보면, 노로바이러스(249건), 병원성대장균(213건) 순으로 가장 높고, 환자 발생은 병원성대장균(10,158명), 노로바이러스(5,498)명으로 2번째로 높은 만큼 주의가 요구되는 식중독이다. (※ 식약처 식중독 통계자료 인용)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지하수, 해수 등이 채소, 과일류, 패류, 해조류 등을 오염시켜 음식으로 감염될 수 있으나, 노로바이러스 감염자와의 직·간접적인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식중독과는 차별성이 있다.
대구시 김연신 식품관리과장은 “겨울철에는 낮은 기온의 영향으로 자칫 시민들이 식중독에 대한 관심이 소홀해 질 수 있어, 식중독 예방 3대 요령인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를 실천해 줄 것을 당부드린다”며 “대구시 차원에서도 동절기 식중독 예방계획을 수립해 식중독 발생 이력업소, 위생취약시설 등을 중심으로 식중독 홍보 활동 및 지도․점검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