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서울숲더샵에 '스마트 흡연부스' 설치 모두에게 쾌적한 상생공간 조성!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최근 업무시설 입주로 흡연 인구가 급증한 '서울숲더샵' 인근에 성동형 스마트 흡연부스를 신규 설치하고 지난 11월 11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성동형 스마트 흡연부스'는 성동구의 대표적인 스마트 포용 정책이다. 2022년 11월 성수동 디타워 앞 시범 설치를 시작으로, 흡연 민원 ...
충남도민 절반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대안적 에너지로 신재생에너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명중 6명은 에너지전환 시 전기요금을 현재보다 5% 미만으로 추가 부담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는 ‘2018 탈석탄 친환경 에너지전환 국제 컨퍼런스’를 앞두고 도가 케이스탯 리서치에 의뢰해 만 19세 이상 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7∼9일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2.2%p) 결과다.
조사 결과를 구체적으로 보면, 응답자의 69.3%는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61개 중 절반인 30개가 도내에 밀집해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으며, 보령과 당진, 태안 등 서해안권 주민들은 80% 이상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나 불편을 묻는 질문에는 매우 심각하다는 답이 24.2%, 심각한 편이라는 답은 44.6%로, 지난해 여론조사 결과(매우 심각 18.9%·심각 41.2%)에 비해 상승했다.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기 위한 대안적인 에너지로는 태양광과 조력,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가 45.2%로 가장 많았고, 원자력발전(24.2%)과 천연가스(12.4%), 수력발전(5%) 등이 뒤를 이었다.
친환경에너지 전환에 따른 전기요금 추가 부담 수용 가능 수준은 현재의 5% 미만이라는 답이 60%로 가장 높았다.
5∼10%는 17.6%, 10∼20%는 6.5%로 나타났으며, 50% 이상까지도 수용할 수 있다는 답도 1.8%로 나와 눈길을 끌었다.
2026년까지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14기를 조기 폐기하고, 2050년까지 친환경에너지 발전량을 48%까지 높인다는 도의 목표에 대해서는 40%는 적절하다고 답하고, 목표치가 높다는 답은 36.2%, 낮다는 답은 14.4%로 조사됐다.
도 관계자는 “이번 여론조사는 2018 탈석탄 에너지전환 국제 컨퍼런스 실시에 앞서 도민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했다”라며 “조사 결과는 지난해 10월 조사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탈석탄 로드맵 수립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탈석탄 친환경 에너지전환 국제 컨퍼런스는 다음 달 1∼2일 ‘청정한 국민의 삶을 위한 친환경 에너지전환’을 주제로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