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뉴스21) 권소영 기자 = 전북도에서는 오는 ’18년 하반기부터 학술용역 표절여부를 사전 검증할 수 있는 표절검사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표절검사시스템은 국내외 비교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구 보고서, 논문, 공모 자료의 표절률, 출처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최근 몇 년간 일부 연구기관의 논문 표절 의혹이 이슈화되는 등 학술 연구보고서 연구윤리 확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어, 현재는 전국적으로 각종 국책연구기관 및 교육기관 등 약 600여 곳에서 표절검사시스템을 도입하여 표절률을 자체 점검하고 있다.
그간 전북도에서는 매년 40여 건의 학술용역을 발주하여 도정정책에 활용하고 있고, 1천만 원 이상의 학술 용역에 대하여는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용역과제심의위원회를 운영하여 사전 타당성 심의 및 종료 후 3개년 간 활용상황을 점검하는 등 사전, 사후관리를 추진하여 왔으나, 용역결과물에 대한 표절여부에 대해서는 사전 검증이 미흡하고, 용역과제담당자의 표절검증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아울러, 최근 전라북도의회에서 산하 출연기관 발주 용역의 표절의혹을 제기함에 따라, 도에서 발주하고 있는 용역에 대해서도 표절 검증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전라북도는 이에 따른 대책으로, 금년 하반기부터 전라북도 기관전용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표절검사시스템을 운영하고, 용역과제담당자의 연구윤리 인식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년 1회)함으로써, 표절용역을 사전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표절검사시스템이 구축되면 도 본청 및 사업소에서는 용역종료 시 시스템을 이용해 표절률, 출처, 연구의 핵심사항 등을 제공된 비교문서와 다각도로 검토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 단순 경미한 오류는 시정조치하고, 중대한 표절로 판단 될 경우, 수행업체를 제재 조치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도 활용 가능하다.
최병관 전라북도 기획조정실장은 “그동안 주로 연구기관, 대학기관 등에서 자체연구보고서에 활용해오던 기관전용 표절검사시스템을 지자체에서는 전라북도가 부산시에 이어 두 번째로 도입함에 따라 표절용역에 대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연구윤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 나감으로써 타 지자체에도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제보 : jjnews2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