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지방 통계청 전주사무소는 전북지방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8%, 전년 동월 대비 1.7% 각각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품목성질별지수를 보면
- 농축수산물 : 전월대비 4.8%, 전년동월대비 5.9% 각각 상승,
- 공업제품 :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0.9% 각각 상승했고,
- 서비스 품목은 전월대비 0.5%, 전년동월대비 1.7% 각각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1.0%, 전년동월대비 1.8% 각각 상승,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7.2%, 전년동월대비 6.1% 각각 상승했다.
< 품목성질별 동향 >
< 2015년 이후 소비자물가지수 및 등락률 추이 >
(2015=100, %)
1.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2018년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3.96(2015년=100)로 전월대비 0.8%, 전년동월대비 1.7% 각각 상승
< 연도별 2월 및 최근의 월별 소비자물가 동향 >
(2015=100, %)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1.0%, 전년동월대비 1.8% 각각 상승
< 월별 생활물가 동향 >
(2015=100, %)
* 전체 460개 품목 중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1개 품목으로 작성
< 생활물가 전월대비 등락품목 </span>>
- 상승 : 공동주택관리비(5.3), 배추(46.7), 풋고추(48.7), 파(25.9), 귤(9.1), 빵(4.8), 경유(1.4), 휘발유(0.9), 무(49.6), 호박(18.7), 버섯(17.5), 바나나(12.6), 쌀(4.7), 국산쇠고기(1.9), 부추(36.3), 시금치(12.8), 토마토(9.7), 오이(7.9), 감자(5.2), 오징어(2.6), 자동차용LPG(2.6), 해장국(2.1)
- 하락 : 부침가루(-15.1), 화장지(-4.0), 치약(-7.2), 식용유(-5.3), 참기름(-4.6), 탄산음료(-3.8), 샴푸(-3.5), 당근(-1.9), 달걀(-1.4), 세탁세제(-1.3), 콩나물(-1.2), 라면(-0.8), 양말(-0.8), 부엌용용구(-0.5), 생리대(-0.5), 여자내의(-0.4), 마늘(-0.2), 남자내의(-0.2), 조제약(-0.2), 병원약품(-0.2)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7.2%, 전년동월대비 6.1% 각각 상승
- 신선어개류 : 전월대비 2.1%, 전년동월대비 7.6% 각각 상승,
- 신선채소류 : 전월대비 15.8%, 전년동월대비 5.6% 각각 상승했고,
- 신선과실류 : 전월대비 2.7%, 전년동월대비 5.8% 각각 상승했다.
< 신선식품지수 동향 >
(2015=100, %)
< </span>2월 주요 등락품목 >
2. 소비자물가지수 부문별 동향
- 지출목적별 동향을 보면, 전월과 대비하여 식료품·비주류음료(2.6%), 오락·문화(1.2%), 주택·수도·전기·연료(0.8%), 음식·숙박(0.6%), 의류·신발(0.6%)부문 등은 상승하였고, 주류·담배, 통신, 교육부문은 보합세이다. 전년동월과 대비하여 식료품·비주류음료(3.5%), 음식·숙박(2.8%), 가정용품·가사서비스(2.3%), 교통(1.7%), 주택·수도·전기·연료(1.6%)부문 등은 상승하였고, 통신(-0.1%)부문은 하락했다.
< 지출목적별 동향 >
(%)
품목성징별 동향을 보면,
상품은 전월대비 1.1%, 전년동월대비 1.6% 각각 상승,
- 농축수산물 : 전월대비 4.8%, 전년동월대비 5.9% 각각 상승,
- 공업제품 :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0.9% 각각 상승했고,
- 전기·수도·가스 : 전월대비 변동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1.4% 하락했다.
서비스는 전월대비 0.5%, 전년동월대비 1.7% 각각 상승,
- 집세 : 전월대비 0.1% 하락, 전년동월대비 0.4% 상승,
- 개인서비스 : 전월대비 0.8%, 전년동월대비 2.4% 각각 상승했다고 밝혔다.
전북취재본부 이경재 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