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라는 의심을 받고 있는 자동차 부품업체 '다스'(DAS)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기존에 알려진 120억여원 외에 추가로 회사 차원에서 만든 비자금을 발견해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서울동부지검 다스수사팀은 어제(19일) 중간수사결과 발표에서 "경영진의 비자금 조성 과정을 돕던 경리직원이 개인적 목적으로 횡령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대신 검찰은 수사과정에서 다스 자금 120억원과 별개로 다스 경영진이 조직적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력을 집중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이명박 전 대통령의 차명재산을 관리해온 것으로 알려진 다스 협력업체 '금강'의 이영배 대표가 오늘 새벽 검찰에 구속됐다.
한편 검찰은 연간 5억원 이상의 법인세 포탈 혐의를 포착하고도 수사를 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정호영 전 특검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특수직무유기 혐의로 고발된 사건에 대해 이날 무혐의 처분했다.
검찰 관계자는 "특검 등 관련자 조사, 횡령 관련자 및 회사에 대한 계좌추적과 압수수색, 특검 기록과 확보된 금융·세무자료 등 관련 자료 전체를 면밀히 살펴본 결과, 특검이 당시 다스의 경리직원 개인 횡령 이외에 회사 경영진이 개입된 조직적인 범행이라고 판단했거나 경영진의 추가 비자금 조성사실을 인지했다고 볼 만한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특검 수사 당시에도 이른바 다스 비자금 120억여원이 개인 횡령으로 확인돼, 탈세를 검토할 여지가 없었고 다스 수사팀 결론도 이와 동일하므로 탈세를 전제로 한 특수직무유기 혐의를 인정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검찰은 향후 다스 경영진 등이 조직적으로 조성한 비자금의 정확한 규모와 비자금 조성의 목적·사용처, 제3자 개입 여부 등 그 실체를 규명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동부지검에 마련된 다스 특별수사팀의 부팀장인 노만석 부장검사를 비롯해 일부 검사들은 22일부로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에 합류해 다스와 괸련된 의혹 전반에 대한 수사를 계속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