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분리' 정부가 AI와 반도체 산업에 대한 투자 촉진을 위해 금산분리 완화를 추진 중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SK는 이곳에 반도체 공장 네 곳을 짓고 있는데 최근 투자비가 600조 원까지 급증했다.최태원 회장도 대통령을 만나 어려움을 언급했다.AI, 반도체 분야 초대형 투자를 위해 지난달 대통령이 '금산분리' 완화를 언급했고, 정부가 규제 완화 방안을 조율 중.KBS 취재 결과 SK가 제출한 자료가 일부 ...
학생이 주인공이 되는 교실, 울산교육의 수업 혁신을 이끄는 교사들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학생 한 명 한 명의 성장과 배움을 최우선’ 목표로, ‘학생 중심 배움 수업’을 적극 장려하며 교실에 활기찬 변화를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끊임없이 연구하고 도전하며 아이들의 잠재력을 활짝 꽃피우는 현장 교사들의 헌신과 열정이 있다. 학생이 수...

울산시가 204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효율화사업으로 석탄화력 4기를 대체효과를 내겠다는 ‘친환경 에너지 허브도시 울산’ 비전을 마련했다.
이에 따른 ‘울산시 신재생 에너지 확대 및 에너지효율화 계획’은 울산시가 최근 수립한 ‘제5차 지역에너지 계획’과 연동해 목표와 추진 전략이 도출했다.
울산시는 이번 비전에 신재생 에너지 보급과 에너지 효율화 확대를 통해 청정 에너지 선도도시로 거듭나고 미래 에너지 연구개발과 에너지 신산업의 세계 중심지로 도약하려는 의지를 담았다고 밝혔다.
계획을 보면 신재생 에너지 확대 보급을 통해 신재생 발전량을 2022년, 2030년, 2040년까지 각각 2015년(630GWh)의 2배, 4배, 7배로 확대해 석탄 화력 1기 이상(1.14기)의 대체효과를 내기로 했다.
또 울산시 전체 에너지 소비의 89%를 차지하는 산업 부분을 중심으로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추진해 2040년까지 석탄 화력 3기분의 에너지를 절감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2040년까지 총 4기 이상(4.14기)의 석탄화력발전소를 대체하는 효과를 내는 것이 목표다.
울산시는 이를 위해 1단계 사업으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에너지 생산·보급, 에너지 효율화, 에너지 산업 육성, 추진체계 강화 등 4대 추진전략과 10대 핵심과제를 추진한다.
10대 핵심과제는 에너지 생산·보급 확대 전략으로 유휴지와 주택 등의 태양광발전 대대적 보급(217㎿), 수소연료전지 발전소와 건물용 연료전지 보급 확대(35㎿), 수소차 1만 대, 전기차 4500대 충전 인프라 확대 보급,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실증화와 단계별 단지 조성을 추진한다.
특히 주택 태양광 발전은 향후 5년간 아파트용 미니 태양광 1만2000 가구와 일반주택용 태양광 3000가구를 보급할 예정이다.
에너지 효율화 전략에서는 중소기업 효율 개선, 산업단지 내 미활용 열원 활용 등 산업단지 에너지 소비효율 개선, 에너지 자립형 건물 건축, 산업단지 내 에너지저장장치(ESS) 보급 확대(370㎿h) 등이 포함됐다.
에너지산업 육성 전략에서는 UNIST와 울산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분원 등과 연계한 이차전지, 태양전지, 정보통신기술(ICT)기반 에너지 신산업 기술개발, 혁신도시와 테크노산단, 장현 도시첨단산단, 에너지 융합 산단 등으로 이어지는 신재생 에너지 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