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이달 17일 전남 고창 육용오리농가에서 발견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분석결과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가 겨울 철새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27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고창 육용오리 농장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중간 역학조사 결과, 농장으로의 바이러스 유입 원인은 AI에 감염된 철새의 바이러스가 야생조수류·사람·차량(기구) 등을 통한 유입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고창 농장은 철새도래지 인근(동림저수지등)에 위치해 있다. 최근 가창오리 등 철새 이동이 확인됐으며 축사 지붕에서 야생조류의 분변이 다수 발견됐다. 현재 동림저수지에는 야생조류 34종 7266수가 있다.
아울러 검역본부는 이번 고병원성 AI H5N6형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 분석 결과, 2016년말 유럽에서 유행한 H5N8 바이러스와 유럽 야생조류 저병원성 바이러스(H3N6)가 재조합된 새로운 유형의 H5N6 AI 바이러스라고 추정했다.
검역본부는 추가적으로 발생원인 및 유입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민관합동조사팀을 구성해 발생농장 및 동림저수지 인근에서 야생조류 폐사체 및 분변 등(852점)을 채취해 바이러스 확인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박봉균 농식품부 검역본부장은 "바이러스 간 재조합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바이러스가 올 10월 이후 겨울철새를 통해 국내에 유입됐을 개연성이 높다"고 말했다.